[투자성과 리뷰]김재영 라이온하트 대표, 매각 대금 카카오게임즈 재투자2차례 유증 참여, 지분교환 '혈맹'과 유사…6만5000원→1만6000원대로 하락
원충희 기자공개 2025-01-23 08:18:18
[편집자주]
과거 모 그룹의 후계자는 전환사채 투자로 지배력을 계승해 화두에 올랐다. 이처럼 투자는 여러 목적을 가진다. 사업 협력, 자본 확충, 지배력 확대, 투자수익 등등. 특히 오너와 CEO, CFO 등 주요 경영진의 투자는 기업의 경영 또는 승계 등 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투자자산도 주식 뿐 아니라 가상자산, 메자닌, 부동산 등 다채롭다. 이들의 투자 목적과 재원, 성과와 손익 등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1일 10시52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재영 라이온하트 대표는 카카오게임즈에 지분 24.5%를 매각해 9700억원이 넘는 잭팟을 터뜨렸다. 그는 매각대금 중 3500억원을 출자 형태로 카카오게임즈에게 다시 태웠다. 이로 인해 카카오게임즈의 2대 주주, 개인투자자로는 최대주주가 됐다.주당 6만5000원에 산 카카오게임즈의 주가는 현재 1만6000원 수준까지 떨어졌다. 두 회사 간의 협업 강화란 목적은 달성했으나 투자성과는 4분의 1토막이 났다. 현재 시가로는 1000억원도 못 건진 상황이다.
◇라이온하트 지분 팔아 카카오게임즈 유증 참여, 지분교환 '혈맹'과 유사
카카오게임즈의 작년 3분기 말 주주구성을 보면 최대주주는 지분 40.8%를 쥔 카카오다. 그 뒤를 잇는 2대 주주가 6.52%를 보유한 김재영 라이온하트 대표다. 카카오게임즈의 5% 이상 주주들은 앞의 둘이 전부다.
김 대표 이외에도 송재경 엑스엘게임즈 대표, 문태식 카카오VX 등 개인주주들이 있지만 대다수가 1% 미만 수준이다. 공시대상인 5% 이상 개인주주는 김 대표 뿐이다. 그는 2021년 11월 카카오게임즈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때 1740억원(225만7851주), 2022년 8월에 1771억원(312만8686주)을 투자해 카카오게임즈 지분을 취득했다.
이때 투입된 금액만 3500억원이 넘는다. 자금 원천은 카카오게임즈에 라이온하트 지분 24.54%를 팔아 손에 쥔 9700억원이다. 김재영 대표가 설립한 게임 개발사 라이온하트스튜디오가 2022년 선보인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 흥행 대박을 낸 덕분이다.

당시 거래로 라이온하트 최대주주였던 김 대표의 지분은 59.21%에서 34.67%로 낮아졌다. 단일로는 여전히 1대 주주지만 카카오게임즈(24.57%)와 그 자회사인 유럽법인(Kakao Games Europe B.V.)의 합산 지분이 54.95%가 되면서 2대 주주가 됐다.
◇개발사-퍼블리셔 협업 강화, 주가 하락에 '평가손실' 상태
자금흐름 측면에서 카카오게임즈→유럽법인→라이온하트→카카오게임즈로 돈이 도는 모습은 순환출자와 유사하다. 다만 법인(라이온하트)이 아니라 개인(김재영 대표)이 투자한 것이기에 법적인 문제는 없다.
김 대표는 사업 협력과 카카오게임즈의 성장성을 감안해 거액을 태웠다. 그가 가진 라이온하트 지분를 팔고 카카오게임즈 지분을 샀다는 점에서 지분 교환을 통한 혈맹과 구조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카카오게임즈와 라이온하트는 단순히 지배회사-종속회사 개념이 아니다. 라이온하트가 게임을 개발하면 카카오게임즈가 유통과 마케팅 서비스를 전담한다. 디벨로퍼와 퍼블리셔의 관계다. 김재영 대표로서는 카카오게임즈 지분은 사업 협업은 물론 모회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혹시 모를 모자회사 간 이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단이다.
사업적 목적은 달성했을지 몰라도 투자성과는 좋지 못했다. 카카오게임즈의 두 차례 유증 합산기준 주당 발행액은 6만5587원이다. 현재 카카오게임즈 주가는 1만6000원대에 머물고 있다. 4분의 1가량 토막이 난 상태다. 김 대표로선 3500억원을 투자해 1000억원도 못 건진 상황이 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홈넘버’로 안전한 쇼핑 환경 조성
- [계열사 정리 나선 쌍방울 그룹]퓨처코어 매각 구체화, 그룹 해체 마무리 단계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지배력 '탄탄한' 유양석 회장, 승계이슈는 '먼일'
- 한화그룹, 미국 대관조직 '컨트롤타워' 만든다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Policy Radar]'1거래소-1은행' 원칙 폐기 짚어볼 두 가지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구조 분석/삼일제약]지배력 희석 대가 시설자금·재무개선 '일석이조'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