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등극' 리벨리온, 2000억 프리IPO 추진 기업가치 최소 1.3조 제시, R&D 비용·해외 진출용 실탄 장전
김예린 기자공개 2025-04-16 08:09:22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5일 13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리벨리온이 최대 2000억원 규모로 투자 유치에 나선다.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다양한 투자 제안을 받으면서 신규 라운드를 열기로 한 모양새다.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리벨리온은 1500억원에서 최대 2000억원 규모로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이 주요 타깃으로 중동 등 각국의 글로벌 투자사, 기업들과 물밑 협상 중이다. 리벨리온의 초기 투자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기존 주주들의 구주 거래도 함께 이뤄질 수 있어, 최종 딜 사이즈는 더 커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번 라운드는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에 해당한다. 리벨리온은 지난해 초 1650억원 규모로 시리즈B 라운드를 마무리했고, 반년 뒤인 7월 글로벌 에너지·화학 기업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로부터 200억원을 유치했다. 같은 해 일본 벤처캐피탈(VC) DG다이와벤처스도 투자자로 확보했고, 올 초에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부산에쿼티파트너스로부터 600억원을 투자받았다.
최근까지도 해외 굵직한 전략적투자자(SI), 재무적투자자(FI)들로부터 투자 제안이 들어오면서 최종 펀딩에 돌입한 모양새다. 자본시장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데다 연구개발(R&D) 비용에 꾸준히 자금을 투입해야 하고, 해외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설정한 IPO에 앞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딜 성사 시 기업가치는 최소 1조원대 중반 수준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사피온과의 합병법인을 공식 출범하면서 1조3000억원의 몸값을 인정받으며 유니콘 등극에 성공했다. 지난해 일본 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올 상반기에는 사우디 법인을 세우고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3년 매출 27억원, 16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만큼 올해는 성장성을 입증하는 데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다. 신제품 출시와 공급 규모 확대, 미국과 일본, 사우디 등 해외 영업력 강화에 주력하겠다는 전략으로, 내년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턴어라운드 베팅' VAC, 직방 BW 600억 투자
- [로보락이 쏘아올린 작은 공]'더 이상 가성비 아니다' 중국산의 반격
- [i-point]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미국 임상 2상 성공
- '돋보인 해외성장' 에이피알,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
- [i-point]'턴어라운드' 가온그룹, 와이파이7 선점 효과
- [i-point]라온메타-마인즈AI,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제공
- [레페리는 지금]기업가치 산정 '고차방정식', 성장성 인정받을까
- [지앤푸드는 지금]계열 리스크 일단락…비상장사 관리 숙제 여전
- '지분 수증' 신세계 정유경 회장, 남매의 뚜렷한 '대비'
- [지배구조 분석]지주사 체제 정비 삼양식품, 중장기 승계 포석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이비즈-디에이밸류, 문화콘텐츠 출자사업 승기 비결은
- bnw인베, 'AI 클라우드' 람다 3000만달러 투자
- 100억 펀딩 나선 '브이원씨', 투자 하이라이트는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인수한다
- 브이원씨-메리츠증권, 3000억 중소기업 대출펀드 만든다
- 이브이씨씨, 최대 150억 투자유치 추진 '산은·GSA 등 러브콜'
- 다올PE, HMR 제조 '진한식품' 매각 추진
- '펀딩 순항' 에어인천 컨소, 수은·우본 등 복수 LP 유치
- 이차전지 상장사 윤성에프앤씨, 400억 CB 발행 성공
- 300억 펀딩 나선 앤유, 투자 하이라이트 '성장성·개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