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우 발언' 돌발변수로 등장 외자유치 필요성 급부상.."당국,일관성 없다" 비난도
이 기사는 2008년 09월 09일 16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보기업들이 전광우 금융위원장의 발언에 골머리를 앓기 시작했다. 기술력 유출을 우려한 여론 탓에 득보다 실이 많을 것으로 여겼던 외자유치가 하루새 '주요 조건'으로 탈바꿈 해버렸기 때문.
인수전을 둘러싼 관계자는 물론 정치권에서조차 전 위원장의 발언이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수전 관계자들은 "입찰을 앞둔 가장 민감한 시기인만큼 정책당국이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전 위원장은 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외화수급상황 개선을 위해 대우조선해양 등 구조조정기업 지분매각에서 적정수준 외자를 유치하는 길을 모색하겠다"고 선언했다.
전 위원장의 발언 한마디로 후보기업들은 새로운 해외 투자자를 끌어들여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인수 후보중 GS를 제외하고는 인수금융에서 해외 투자자에 무게중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 위원장의 발언 직후, 포스코와 한화 등은 1조원 안팎의 유럽계 은행자금을 집행할 수 있는 일부 기관투자자에게 갑작스레 러브콜을 보냈다. 과거에는 컨소시엄 참여를 적극 검토하지 않았으나 이제는 필요성이 부각된 탓이다.
방산업체인 대우조선은 외국인투자촉진법 제6조에 따라 특정 외국인이 지분 10%이상을 취득할 경우 지식경제부 장관의 사전허가를 받아야 한다.
결국 본입찰에서 영문이름의 전주(錢主)를 올리기 위해 일부기업은 외국자본 배제라는 기존 원칙마저 재검토해야 할 상황에 처한 셈이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나우로보틱스 줌인]기술 공유·자재값 인하, 글로벌 고객사 파트너십 ‘눈길’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피에스케이그룹, 반도체 패키지 장비 외형성장 방점
- [유증&디테일]자체 자금조달 나선 비비안, 홀로서기 '드라이브'
- [파인원 raod to IPO]공모자금 과반 시설투자로, 8.6G 선점 '총력'
- 김병관 전 웹젠 의장, 기대작 출시 앞두고 '저점 매수'
- [소부장 2세 시대 개막]한미반도체, '오너 3세' 경영수업 본격화될까
- [IR Briefing]SKT, 유심 해킹에 가려진 역대급 실적
- [Company Watch]헥토그룹, 1분기 매출 역대 최대 '전 사업 호조'
- [Company Watch]이스트소프트, 1Q 적자 배경 'BEP 달성보다 AI 키우기'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