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정책형 뉴딜펀드]얼머스인베스트, 700억대 신규 펀드레이징 박차설립 후 세번째 블라인드 펀드, 상반기 내 결성 목표
임효정 기자공개 2021-03-08 08:07:34
[편집자주]
미래 핵심 산업군에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하는 정책형 뉴딜펀드가 출범을 앞뒀다. 운용 과정에서 벤처캐피탈과 사모펀드 등 모험자본이 중추적인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올해 처음 모습을 드러내는 정책형 뉴딜펀드를 짚어보고 운용사의 면면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3월 04일 13:4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로 설립 4년차를 맞은 얼머스인베스트먼트가 세 번째 블라인드 펀드를 결성한다. 정책형 뉴딜펀드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최종 운용사로 낙점된 데 따른 것이다. 예상되는 결성 총액은 700억원대로 설립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이로써 운용자산(AUM)은 2000억원을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얼머스인베스트먼트가 올 상반기를 목표로 신규 펀드레이징에 나섰다. 정책형 뉴딜펀드 2021년 정시 출자사업의 관문을 통과하며 위탁운용사로 최종 선정됐다.
펀드 결성 규모는 770억원 수준이 예상된다. 이 가운데 272억원을 성장금융에서 출자 받을 예정이다. 결성 시점은 올 상반기로 설정했다. 이번 출자사업에 선정된 운용사는 선정일로부터 8개월 이내에 조합을 결성하면 된다. 얼머스인베스트먼트는 이미 260억원 규모의 출자 확약을 받아 놓은 상태다. 결성 마감 시한에 비해 빠르게 결성을 추진할 수 있는 배경이다.
주목적 투자는 뉴딜 서비스 분야다. 디지털 치료제, 차세대 통신, 바이오헬스케어산업 등 그간 얼머스인베스트먼트가 주력해온 투자 섹터를 공략할 계획이다.
이번 펀드는 설립 후 세 번째 블라인드 펀드다. 얼머스인베스트먼트는 20여 년간 벤처투자업계에서 경험을 쌓은 전문 인력이 모여 설립된 만큼 빠르게 성과를 보여 왔다.
설립 2년차인 2019년 말 한국벤처투자와 한국성장금융 출자사업에서 최종 운용사(GP)로 선정되면서 2개의 블라인드펀드를 조성했다. 그로쓰(Growth)벤처펀드(436억원)와 세컨더리(Secondary)벤처펀드(300억원)가 여기에 해당한다.
한국성장금융과 한국산업은행의 출자사업에서 최종 GP 자격을 따낸 건 두 번째로, 루키 타이틀을 떼고 치열한 경쟁률을 뚫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펀드는 설립 후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그간 결성한 펀드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조합은 2019년 말 결성한 436억원의 그로쓰벤처펀드다.
기존 블라인드 펀드의 투자 소진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성장지원1호펀드는 약정 총액 436억원 가운데 337억원을 투자 집행했다. 세컨더리펀드의 경우 약정 총액(300억원) 중 90%가까이 투자 소진을 완료했다.
얼머스인베스트먼트는 올해 AUM 3000억원을 목표로 삼았다. 현재 AUM은 1900억원대로 신규 펀드 결성이 마무리될 경우 27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파라투스·골든루트, 호산테크 PMI 본격화
- [thebell interview]김진 퍼틸레인 대표 "디지털 광고 인프라 기업 목표"
- 퍼틸레인, IPO 채비…주관사에 '미래에셋증권' 선정
- 정부 주도 '코스닥벤처펀드' 출범 3년 성과와 한계는
- [자산관리 디지털 시프트]하나금투, 빅데이터·AI 이용 '리밸런싱' 제안
- '면역세포치료제' 지아이셀, 500억 시리즈B 유치
- 어펄마캐피탈 새 펀드, 티맵모빌리티로 첫 투자
- PE 운용사, 뉴딜-소부장 출자 놓고 '고심'
- [VC 경영분석]출항 3년차 하나벤처스, 지금부터 본게임
- '착오에 의한 계약취소' 금감원의 묘수 문제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