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플러스,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개발 전구체 재활용 NCM 811 생산, 2차전지 배터리 주행거리 개선 효과 기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3-01-30 14:17:41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0일 14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가증권 상장사 이엔플러스는 전구체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NCM 811'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NCM 811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함량이 각각 8:1:1 비율로 포함됐다.NCM 양극재를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주력하는 2차전지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엔플러스는 이번에 개발한 양극활물질로 테스트 목적의 샘플용 2차전지를 만들었다.
자체 테스트를 진행해 국내 대기업들의 2차전지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확인했다. 대기업에서 생산한 2차전지는 1차 충·방전 테스트에서 평균 201.9mAh/g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이엔플러스 제품은 비슷한 수준인 204.4mAh/g 방전 용량이 측정됐다.
이로써 이엔플러스는 지난해 11월 리튬·인산·철(LFP) 개발에 이어 NCM 개발로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2차전지 리사이클 기반의 신규 사업도 추진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리사이클 원료를 활용하면 수입 의존을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개선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IRA 대응을 위해 원료 확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리사이클 전구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개발은 지난해 양극재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잔류 리튬 감소 등 특허 확보로 이뤄낸 성과 중 하나"라며 "제품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한 테스트를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이익률 또한 우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큐브엔터, 매출액 400억대…광고·MD부문 견인
- 스톤브릿지캐피탈, 플라스틱 컴파운드 '폴리피아' 품는다
- [키스트론 IPO]제2의 고려제강 노린다…오너 승계 목적은 "과도한 해석"
- [i-point]바이오솔루션, 200% 무상증자 결정
- 레이, 창사 이래 첫 1분기 흑자…매출도 신기록
- [i-point]DS단석, 일본 코스모 오일과 SAF용 전처리 원료 납품 계약 체결
- [DS금융그룹 시대 개막]디에스증권 '자본 확충' 효과까지…체질개선 노린다
- [삼성그룹 북미 대관조직 분석]강해지는 트럼프 압박, 늘어나는 로비 금액
- [i-point]신테카바이오, 1분기 매출 9억 '턴어라운드'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CSS'에 진심인 OK저축, 중금리로 수익·건전성 관리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광그룹은 지금]풍부한 유동성, 사업 확장 위한 M&A 베팅 밑천
- [대광그룹은 지금]'자산 6조' 대기업 도약, '건설·레저·금융'으로 일궜다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반도그룹, 자산 6조 넘기며 재계 75위 '껑충'
- [디벨로퍼 리포트]위본그룹 '위본', 부동산 개발 위축에 수익성 둔화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건설' 대광그룹, 회계기준 변경 덕에 대기업 반열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건설리포트]삼성물산 건설부문, 도시정비 수주 성과 '뚜렷'
- [건설리포트]'H-Road' 현대건설, 수익성 개선 과제 남겼다
- [건설리포트]라인건설, '오산·아산' 분양 성과에 수익성 급증
- [thebell desk]토목 엔지니어가 본 '싱크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