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그룹, 조용병 회장 고문 추대…배려와 양해 사이 한동우 회장 이어 역대 두번째…여의도 증권 사옥에 집무실 둬 경영진과 거리 두기로
고설봉 기자공개 2023-03-09 08:26:47
이 기사는 2023년 03월 08일 16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사진)이 퇴임 뒤 신한금융지주 고문으로 위촉된다. 향후 경영 전반에 자문과 조언 등을 할 예정이다. 은퇴 뒤에도 신한금융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활동을 이어갈 전망이다.다만 새로 취임하는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등 경영진과는 거리를 둔다. 신한금융지주 및 자회사 대표이사(CEO)들이 퇴임 뒤 고문으로 위촉될 때마다 주로 활용하는 서울 중구 광교 사옥을 벗어난다. 조 회장은 이례적으로 서울 여의도 신한투자증권 사옥에 집무실을 새로 꾸미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지주는 최근 내부 논의를 통해 조용병 회장을 고문으로 위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고문은 경영 전반에 걸쳐 자문을 해 주는 자리다. 주로 퇴임하는 CEO나 고위 경영진들이 고문 위촉 대상이다.

신한지주가 고문직을 만드는 것은 이번이 두번째다. 앞서 조 회장의 전임자였던 한동우 전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은퇴한 2017년 신한지주는 상담역이란 직위를 만들면서 고문직을 두기 시작했다.
한 전 회장 이전까지 신한지주는 고문직을 두지 않았다. 과거 신한금융 창립 멤버였던 라응찬 전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고문을 맡지 않았다. 2010년 촉발한 '신한 사태'로 불명예 퇴진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 회장의 고문 위촉은 신한지주로선 의미가 크다. 조 회장 역시 한 전 회장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임기를 모두 채우고 명예롭게 물러나는 CEO라는 상징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과거 회장들에 비춰 지배구조 안정화에 기여한 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조 회장은 한 전 회장과는 다른 방식으로 고문직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조 회장은 한 전 회장이 고문으로 활동할 당시 집무실로 사용하던 서울 중구 광교 사옥을 이용하지 않는다.
조 회장은 서울 여의도 신한투자증권 사옥에 별도 집무실을 마련한다. 현재 해당 빌딩 28층에 조 회장이 머무를 집무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조 회장이 집무실을 광교 사옥이 아닌 여의도로 정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란 평가다. 광교 사옥은 태평로 사옥과 함께 신한금융그룹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되는 곳이다. 두 사옥 모두 신한금융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빌딩으로 그룹 내 핵심 자회사들이 입주해 있다.
광교 사옥에는 현재는 신한지주와 신한은행, 신한캐피탈, 신한저축은행 등 자회사는 물론 신한은행사료관 등이 있다. 더불어 광교 사옥은 신한은행 및 비은행 자회사 CEO 및 경영진들이 퇴임 뒤 고문으로 위촉됐을 때 머무는 집무실이 마련돼 있다. 지난해 말 퇴임한 허영택 신한지주 CMO도 신한캐피탈 고문으로 광교 사옥에 집무실을 뒀다.
반면 조 회장 집무실이 들어설 신한투자증권 사옥은 그간 신한투자증권 등 입주사 고문실 외에 별도 고문실이 마련된 적 없는 곳이다. 해당 빌딩에는 신한투자증권과 신한자산운용, 신한아이타스 등 자회사들이 입주해 있다. 지난해 신한투자증권이 해당 빌딩을 매각하면서 현재 신한금융 소유도 아니다.
전통을 깨고 조 회장이 신한투자증권 사옥에 집무실을 마련하는 것은 새로 취임하는 진옥동 회장과 지주 경영진 등과 거리를 둬 신임 경영진을 배려하기 위한 조치다. 당국의 지배구조 선진화 요구 등으로 용퇴한 조 회장이 후임자들의 부담감을 낮추기 위해 일부러 신한지주 사옥과 거리가 먼 여의도로 한발 물러난 것이다.
특히 조 회장의 자택이 서울 중구로 태평로 사옥 인근이란 점에서 이러한 해석에 힘이 실린다. 조 회장으로선 자택과 거리 및 동선 등을 고려할 때 태평로 사옥 및 광교 사옥이 훨씬 더 편하다. 여의도의 경우 거리도 멀고 동선도 더 복잡하다.
조 회장이 새로 취임하는 진 회장 등과 적당한 거리감을 스스로 만들었다. 그만큼 고문직 수행을 하면서 신한과 긴밀한 관계는 유지하지만 경영진과는 거리를 두는 나름의 배려를 선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위아, 관세전쟁 여파 수익성 하락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