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환율 상승에 FVPL 평가손익 152% 급증…반대급부로 외환위험도 4배 증가
강용규 기자공개 2025-04-11 13:03:44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0일 07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AIA생명보험(AIA생명)이 지난해 보험과 투자 양대 부문의 손익 개선을 바탕으로 전년 대비 순이익을 늘렸다. 특히 투자부문이 환율 상승효과에 따른 손익 개선으로 전체 이익 증가를 견인했다.다만 환율 변동이 자본적정성 관리 측면에서는 오히려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도 파악된다. 지난해 제도 변경으로 가용자본의 축소 압력이 커지던 차에 외환 리스크 증대가 겹치며 지급여력비율이 1년 사이 급격하게 낮아졌다.
◇트렌드 역행한 자산배분전략으로 투자손익 개선
AIA생명은 2024년 순이익 1738억원을 거둬 전년 대비 24.9% 증가했다. 이 기간 부문별로는 보험손익이 646억원에서 766억원으로 18.7%, 투자손익이 1192억원에서 1519억원으로 27.4%씩 손익이 개선됐다.
AIA생명 측에서는 보험손익 개선의 이유를 신계약 유입 증가에 따른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액 증가로, 투자손익 개선의 이유를 전략적 자산배분과 환율 상승효과로 각각 설명했다.
AIA생명은 CSM의 상각액, 즉 보험이익 전환금액이 지난해 156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5억원 늘었다. 그러나 이 기간 신계약을 통해 확보한 CSM은 991억원 증가한 3557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보유 CSM 잔액 역시 1조4771억원에서 1조5096억원으로 2.2% 늘었다.
최근 보험업계에서는 실적 변동성을 축소하기 위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자산(FVPL) 을 줄이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자산(FVOCI) 을 늘리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AIA생명은 FVPL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 8014억원으로 전년 대비 11.1% 증가하면서 트렌드를 역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기간 전체 자산에서 FVPL이 차지하는 비중도 4.24%에서 4.26%로 소폭 커졌다.
FVPL의 구성을 살펴보면 채권이 1262억원, 수익증권이 854억원, 기타유가증권이 1842억원 등으로 각각 집계됐으며 절반을 웃도는 4057억원이 외화표시 유가증권(외화자산)에 집중됐다. 이와 같은 FVPL 구성 덕분에 환율 상승의 수혜를 본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AIA생명의 FVPL 중 외화자산의 평가손익은 567억원으로 전년도의 225억원 대비 152% 급증했다.

◇외화자산 증가에 급증한 외환위험액
실적 개선과 달리 AIA생명의 자본적정성(지급여력비율)은 2023년 말 304.2%에서 지난해 말 238.6%로 65.6%p(포인트) 급락했다. 이 기간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이 3조7074억원에서 3조2513억원으로 12.3% 감소한 반면 요구자본은 1조2186억원에서 1조3626억원으로 11.8% 증가했다.
AIA생명 관계자는 "감독 당국의 지침에 따라 보험부채 할인율 현실화 및 비실손 갱신상품의 갱신보험료 한도설정과 관련한 기준 변경이 있었다"며 "이로 인해 보험부채가 늘어 가용자본이 감소한 것"이라고 말했다.
요구자본에서는 여러 위험 요소 중 시장위험액이 3731억원에서 6515억원으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시장위험은 금리, 주식, 부동산, 외환 등의 하위 위험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도 외환위험액이 685억원에서 2845억원으로 급증한 점이 눈에 띈다.
AIA생명은 지난해 FVPL과 FVOCI를 통틀어 외화자산이 총 4조2728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65% 급증했다. 이 자산배분 전략은 환율 상승과 맞물려 투자손익 개선의 원동력이 됐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외환위험 익스포저가 2113억원에서 1조545억원으로 급증하면서 외환위험액이 늘어난 핵심 요인이 되기도 했다. 환율 변동이 실적에는 긍정적으로, 자본적정성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AIA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이 1년 사이 크게 하락하기는 했으나 감독 당국의 권고 기준인 150%를 한참 상회하는 만큼 당장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AIA생명 관계자는 "현재 지급여력비율은 업계 평균과 대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라며 "앞으로도 충분한 수준의 지급여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동양생명, 7000억대 외화조달…매각 전 자본관리 '만전'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9000억+α 투자, 자본관리 전략 영향은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손보사 인수도 계획…롯데·악사·카카오페이 주목
- [thebell note]삼성화재의 혁신 스노볼
- 한 달째 멈춘 보험사 자본성 증권…감독기준 변경 주시
- 한화손보, 결국 캐롯손보 합병 수순으로…향후 변화는
- [컨콜 Q&A 리뷰]하나금융, 건전성 지표 준수한 관리…커지는 주주환원 기대
- [보험사 CSM 점검]농협손보, 제도 변경·경쟁심화 이중고…수익 기반 '흔들'
- [보험사 CSM 점검]한화손보, 가정변경 여파에 잔액 성장세도 제동
- 악사손보, 자보 업황 침체에 실적 악화…매물가치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