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순이익 감소에도 '현금흐름' 개선 [Company Watch]매출액 사상 최대 경신하며 매출채권 증가…순운전자본 플러스 전환
정유현 기자공개 2019-03-13 08:10:21
이 기사는 2019년 03월 12일 15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지난해 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현금흐름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조원이 넘는 영업비용이 발생하며 수익성은 악화됐지만 운전자본 현금흐름이 플러스로 전환된 영향에 현금흐름 개선 효과를 봤다. 신사업 투자 및 배당의 재원이 되는 이익잉여금도 5조원을 넘어섰다.12일 네이버에 따르면 2018년도 말 기준 연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9735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9340억원 수준이었던 2017년 대비 4.2%가량 상승했다. 네이버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2016년 1조1640억원으로 기록한 후 2017년 감소했으나 지난해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지난해 연매출 5조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의 매출을 올렸지만 라인(LINE) 핀테크 사업 등 신사업 투자에 따른 영업비용 확대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9425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비용으로 4조6443억원을 투입한 영향에 영업이익은 2016년 이후 2년만에 1조원 아래로 회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18.5% 감소한 6279억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가 순이익 감소에도 현금 흐름이 증가한 원인은 운전자본 변동의 영향이다. 통상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로 결정되는 운전자본 부담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2017년 네이버의 순운전자본은 -1385억원에서 지난해 2202억원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영업현금흐름이 양호한 기업들은 순운전자본 흐름이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운전자본 변동 중 가장 큰 원인은 매출채권의 증가다. 단기간에 회수가 가능한 매출 채권의 규모는 1조 1015억원 규모로 1년전(1조268만원) 대비 800억원 규모가 확대됐다. 장기 매출채권 규모는 741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1131억원으로 확대됐다. 재무상태표 상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이 총 1조2147억원으로 전년 보다 2176억원 늘었다.
회계상 매출로 계상되지만 아직 대금을 못받은 거래가 늘면 현금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매출 채권은 기업의 외형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늘어나기도 한다. 특히 네이버의 매출 채권은 1년새 10%가량 상승했는데 매출액은 이보다 큰 19% 상승율을 보였다. 매출액증가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매출채권이 늘었기에 영업활동 현금흐름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분석된다.
재무상태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해 1189억원 규모로 자사주 취득 후 소각하지 않았지만 자본 총계는 큰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주를 매입하면 현금성 자산이 줄고 그만큼 자본 계정의 기타자본항목을 마이너스로 처리하게 된다. 1년새 기타자본항목 마이너스 규모가 확대됐지만 이익잉여금이 대폭 늘며 자본총계가 늘었다. 투자 재원 및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는 이익잉여금은 2017년 4조5555억원에서 5조2292억원으로 14.78%가량 증가했다.
다만 사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연결 부채 총계가 2017년 2조7140억원에서 3조9320원으로 증가했다. 자본 총계가 늘었음에도 부채도 덩달아 늘며 부채비율이 상승한 것이다. 네이버는 부채비율이 2017년 51%에서 66%로 증가했지만 유동비율은 205%를 유지하고 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NPL 자금조달 리포트]대신F&I, 공격적 투자에 단기조달 확대…NPL 매입 '적기 대응'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Policy Radar]금융당국, SKT 사태 '비상대응본부' 구성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금융 人사이드]캠코 사장 단독후보에 정정훈 전 세제실장…'자본확충' 첫 시험대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저하 '밸류업 복병' 부상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Policy Radar]보험업법 규제 기준 킥스비율 130%로 낮아진다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신세계, 현금창출력 초과한 투자 집행…'성장' 방점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로레알그룹 편입, 지분가치 최소 8배 점프 근거는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확장과 맞물린 현금흐름 둔화, 재무 체력은 '양호'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닥터지'로 그려낸 성장 곡선, 3000억 시대 향한다
- [ROE 분석]코스맥스, 순이익으로 쌓은 자본효율성…20% '목전'
- [Red & Blue]'기관 픽' 선진뷰티사이언스, ODM 사업 경쟁력 '부각'
- [지평주조는 지금]확고한 김기환 1인 대표 체제, 배당 정책 변화 감지
- [지평주조는 지금]외형 확장 그늘 재무 부담, 건전성 회복 '과제'
- [지평주조는 지금]규제의 틈에서 갖춘 자생력, 준비된 플레이어 부각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