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중견그룹]선명그룹, '물류+금융' 자산 1조 시대 문 활짝①1948년 선광 모태, 화인파트너스·자산운용·에셋 자본시장 확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1-07-08 07:18:23
[편집자주]
중견기업은 대한민국 산업의 척추다.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을 잇는 허리이자 기업 성장의 표본이다. 중견기업의 경쟁력이 국가 산업의 혁신성과 성장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평가받는 이유다. 대외 불확실성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산업 생태계의 핵심 동력으로서 그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중견기업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각 그룹사들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성장 전략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1년 07월 06일 07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선명그룹 모태는 1948년 설립된 '선광공사'다. 조선(朝鮮) 광복(光復)에서 한 글자씩 딴 사명을 가진 선광(鮮光)공사는 수도권 물류항인 인천항을 시작으로 평택항, 군산항 등 서해권을 거점으로 성장했다. 물류사업으로 체력을 키운 선명그룹은 국내 최초 여신전문금융 기업을 인수하는 등 금융산업으로도 발을 넓히며 향토기업을 넘어 튼실한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사업군은 크게 물류와 금융 등 2가지로 나뉜다. 모태사업이자 중추 역할은 단연 물류부문이다. 코스닥 상장사 '선광'을 중심으로 사일로(Silo), 자동차, 컨테이너 등 화물을 취급한다. 양곡 등을 다루는 사일로 사업은 1985년부터 시작했다. 선광 본사가 있는 인천에 25만톤 규모 시설이 있으며, 군산에도 70만톤 규모를 갖추고 대기업과 경쟁하고 있다.
자동차는 평택항에서, 컨테이너는 인천항에서 취급하고 있다. 컨테이너 화물은 선광이 힘을 싣는 사업이다. 특히 2015년 6월 인천에 민자사업으로 참여한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이 문을 열면서 덩치를 키웠다. 100% 자회사 (주)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은 지난해 연 100만TEU(20ft 컨테이너 단위) 이상을 처리하면서 인천항을 부산항에 이은 글로벌 무역항으로 발돋움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선명그룹 내 물류사업을 담당하는 선광은 지난해(연결 기준) 매출액 1517억원, 영업이익 28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4.6%, 영업이익은 30.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54.4% 개선된 68억원으로 집계됐다. 세부 매출액은 △컨테이너 654억원(43.1%) △사일로 571억원(37.6%) △일반 253억원(16.7%)으로 구분된다. 수십년째 흑자경영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또 다른 한 축은 금융부문이다. 선광은 여신전문회사 '경인리스금융'을 인수해 금융업에 진출했다. 경인리스금융은 '주은리스', '국민리스' 등을 차례로 사들여 합병한 후 2000년 사명을 썬캐피탈로 바꾸며 금융사업 영토를 넓혔다. 썬캐피탈은 이후 컨소시엄을 꾸려 국내 최초 여신전문 상장사 '한국개발리스'도 사들이기도 했다.
선명그룹은 금융 관련 주력 계열사를 오너일가 지배력 아래로 옮겨뒀다. 금융사업은 화인파트너스와 화인자산운용, 화인에셋 등이 주축이다. 화인파트너스는 심장식 회장을 비롯해 오너일가가 37.8% 이상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대부분 특수관계인으로 지배력을 보강하고 있다.
화인파트너스는 2016년 선광 지분 21.09%를 전량 자기주식으로 취득하면서 고리를 끊어냈다. 이듬해 화인파트너스는 투자본부를 화인자산운용으로 분사시켰다. 이어 지난해 부동산 개발 및 투자를 담당할 '화인에셋'을 인적분할시켰다. 현재 화인파트너스는 기업투자 및 경영컨설팅 등을 영위한다. 지난해 말 기준 매출액(영업수익) 515억원, 영업이익 299억원을 기록했다.
2017년 설립된 화인자산운용은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인프라와 부동산, 실물 대체 자산(항공기·유전·선박 등)에 투자하는 곳이다. 오너 3세인 우진·우겸·우인·우철 등 친인척이 85% 이상 지배력을 갖고 있다. 우진·우겸 남매는 선명그룹 심장식 회장 슬하의 자식들이다.
선명그룹은 물류와 금융사업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지난해 기준 자산 규모가 1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창업자의 2세인 장식 회장과 충식 부회장 등 오너일가가 각 계열사에 50% 이상 탄탄한 지배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외풍에 휘둘리지 않는 장점 중 하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DS금융그룹 시대 개막]'LP 엑시트' 절호의 타이밍, '장덕수 회장' 재정비 결단
- 유언대용신탁 개발 나섰던 신한증권…하반기 중 출시 전망
- 신한패스파인더, 셀럽 집단 대상 '워크플레이스' 자산관리 모델 추진
- 타임폴리오, KB증권 트로이카펀드 롤오버
- 신한운용, 롱온리 전략 펀드 씁쓸한 퇴장
- [i-point]한컴, 1분기 매출·영업익 동반 성장… 클라우드 사업 호황
- [i-point]플리토, 3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 해외 사업 '순항'
- GFFG, '노티드' 매각설 일축…"브랜드 성장 역량 집중"
-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매각', 글로비스가 흥행시켰다
- '미 관세 타격' 두산로보틱스, 적자폭 확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광그룹은 지금]'자산 6조' 대기업 도약, '건설·레저·금융'으로 일궜다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반도그룹, 자산 6조 넘기며 재계 75위 '껑충'
- [디벨로퍼 리포트]위본그룹 '위본', 부동산 개발 위축에 수익성 둔화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건설' 대광그룹, 회계기준 변경 덕에 대기업 반열에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문주현 회장 "첫 만남은 탐색전"
- [건설리포트]삼성물산 건설부문, 도시정비 수주 성과 '뚜렷'
- [건설리포트]'H-Road' 현대건설, 수익성 개선 과제 남겼다
- [건설리포트]라인건설, '오산·아산' 분양 성과에 수익성 급증
- [thebell desk]토목 엔지니어가 본 '싱크홀'
- [디벨로퍼 분양 인사이드]지우개발, 다시 맞잡은 '힐스테이트' 결과에 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