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2023]YG, 새 걸그룹에 달린 '원 IP 리스크'⑤아이콘 계약종료·블랙핑크 재계약 등 변수 산재, '베이비몬스터' 출격 기대감↑
원충희 기자공개 2023-01-27 13:25:40
[편집자주]
지난해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엔데믹을 맞아 K-Pop 스타의 활동 재개와 공연시장 리오프닝에 힘입어 기지개를 폈다. 올해는 대형 스타들의 컴백과 신인 데뷔 봇물이 터지면서 사상 최대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한류를 이끄는 하이브, SM, JYP, YG 등 '빅4'를 중심으로 2023년 엔터업계의 큰 흐름을 조명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5일 15:5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YG엔터테인먼트에게 올해는 격변의 1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블랙핑크의 재계약 시기 도래, 아이콘(IKON) 계약 종료가 맞물렸다. 태양의 이적 등으로 인한 빅뱅의 완전체 활동도 부재할 전망이다. 다만 양현석 총괄 프로듀서의 사법리스크 해소 기대감과 맞물려 4세대 걸그룹 '베이비몬스터'가 출격 준비를 하고 있다.블랙핑크 외 흥행보증 아티스트(IP)가 부재한 만큼 베이비몬스터의 초반 흥행 여부에 따라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해소가 가능할 전망이다. 아울러 지드래곤과 리사의 중국 개인활동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향 실적 기대감이 업사이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세대 걸그룹 '포스트 블랙핑크' 성사에 사활 걸려
YG는 블랙핑크의 월드투어가 순항하면서 지난해 한숨을 돌렸다. 기존 투어 스케줄 대비 20% 늘어난 가운데 트레저 오프라인 투어(26회) 역시 추가 공연이 확정됐다. 트레저의 일본투어는 기존 24회에서 추가 돔투어(+2회) 이달 말 개최될 예정이다. 해외투어의 경우 비교적 마진이 높은 인식 구조로 일본투어 정산 수익은 올 1분기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YG는 악재와 호재가 교차하는 한해가 될 전망이다. 우선 아이콘의 계약이 만료됐다. 팀의 핵심 멤버들과 관련한 이슈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성장 곡선이 크게 낮아졌다. 대표 레거시 IP인 빅뱅의 완전체 투어 활동도 부재할 것으로 보인다. 멤버인 대성과 탑은 계약이 종료됐으며 태양도 최근 '더 블랙 레이블'로 이적했다. 지드래곤의 컴백과 솔로 투어 정도만 가능한 상황이다.

그런 측면에서 기대를 모으는 것인 YG표 4세대 걸그룹 베이비몬스터다. 현재 티저 영상이 순차적으로 공개되고 있다. 최근 양현석 총괄의 사법 리스크 해소 기대감과 맞물려 YG의 사활이 걸린 프로젝트다. 작년 양민석 대표이사가 복귀하면서 블랙핑크의 월드투어가 재개됐고 1심 무죄 판결 이후 신인 걸그룹의 데뷔가 확정됐다. YG의 활발한 매니지먼트 활동이 예상되는 이유다.
현재 하이브(뉴진스, 르세라핌)와 SM(에스파), JYP(엔믹스)에선 이미 4세대 걸그룹을 선보여 인기몰이에 나선 반면 YG는 아직 3세대(블랙핑크) 이후 걸그룹을 내놓지 않고 있다. YG로선 베이비몬스터의 초반 흥행에 따라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해소 여부가 판가름 날 전망이다.
◇지디, 리사 등 중국향 실적 모멘텀 기대
YG에게 올해 신인 걸그룹의 데뷔가 중요한 모멘텀이 되는 또 다른 이유는 최근 데뷔한 걸그룹들이 데뷔시즌에 앨범당 100만장 안팎의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케이팝의 무대가 한국, 아시아를 넘어 유튜브 낙수효과를 타고 전 세계로 퍼져 시장 파이가 상당히 커졌다. 하이브의 신인 걸그룹의 뉴진스는 데뷔 반년 만에 정산을 받았다고 알려질 만큼 수익화 속도가 빠르다.

또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규모로 진행되는 2023년 블랙핑크 콘서트와 일본에서만 30만명 규모의 모객이 가능한 트레저의 대규모 해외 팬덤 등을 감안하면 올해도 영업이익 눈높이는 600억~700억원대에 이른다.
증권가에서 기대하는 또 다른 업사이드 요인은 YG 소속 아티스트들이 보유한 중국 대규모 팬덤이다. 빅뱅은 2016년 마지막으로 중국에서 진행했던 29회 팬미팅(아레나/스타디움급)으로 약 50만명 규모의 공연을 진행한 바 있다. 지드래곤만 활동해도 아레나급(1만석 이상) 이상의 모객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랙핑크 역시 리사의 청춘유니 멘토 활동으로 중국 내 입지가 탄탄하며 그의 솔로곡은 지난해 QQ 뮤직 케이팝 인기곡 2위(1위는 빅뱅)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블랙핑크의 홍콩 공연 암표가격 급등으로 중국 내 높은 잠재수요를 짐작할 수 있다. 한한령과 중국의 반한류 정서가 변수지만 활동 재개를 통해 중국향 실적 기대감이 현실화될 경우 YG의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엠투엔, 작년 순이익 '흑전' 성공
- 대양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 개선 경진대회 금상 수상
- 모아데이타, 지난해 '최대 매출' 217억원 달성
- [상장 리츠(REITs) 대해부]롯데리츠, 운용자산 '11조+α' 목표
- 대동기어, 노재억 신임 대표이사 선임
- GTF "자회사 엘솔루, 코트라에 AI 번역솔루션 공급"
- [챗GPT발 AI 대전]'디지 AI' KT, 'B2B 친화+감성케어' 초거대 AI 차별화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덩치 커져도 평가 제자리, 후계자 백인환 사장 나섰다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 삼성SDI도 뛰어들었다…LFP가 뭐길래
- [SM엔터 경영권 분쟁]하이브, 공개매수 참여해도 경쟁률 영향 '제한적'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 [챗GPT발 AI 대전]삼성·SK가 꽂힌 게임 체인저 'PIM'
- [캐시플로 모니터]하나마이크론, 급증한 차입금에 '영구CB' 묘수
- 삼성SDI, 올해 선보일 '46파이·전고체'에 쏠린 기대
- [챗GPT발 AI 대전]대표 수혜자 SK하이닉스 'HBM3' 기대감 고조
- [SM엔터 경영권 분쟁]카카오 입장문에 담긴 키맨과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