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연내 갚을 빚 3426억→1조3814억, 라인 공개매수 위한 차입금
원충희 기자공개 2023-03-23 11:10:53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1일 11:06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올해 안에 갚아야 할 빚이 4배 이상 급증했다. 장기로 빌린 돈의 잔존만기가 1년 내로 도래하면서 단기차입금으로 바뀐 탓이다. 대부분 라인과 야후재팬 경영통합을 위한 주식공개매수 목적으로 일본계 은행에서 빌린 차입금이다.포쉬마크 인수로 대규모 자금지출을 감내해야 할 네이버로선 올해 자금흐름 운영의 묘를 발휘해야 하는 시기다. 보유 현금성자산이 4조7000억원에 달해 유동성 문제는 없지만 일부 투자자산 매각 등으로 실탄 마련에 나서고 있다.
◇조 단위 웃도는 단기차입금, 역대급 규모
네이버의 지난해 단기차입금은 1조3814억원으로 전년(3426억원)대비 4배가량 늘었다. 최근 5년간 네이버는 단기차입금이 많아봤자 5000억원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었는데 처음으로 조 단위를 넘었다. 지난 1년 동안 전체 차입금이 3조9614억원에서 4조1965억원으로 소폭 증가한 점에 비춰보면 신규 단기차입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흥미로운 점은 단기차입으로 분류된 유동성장기부채 중애소 상당액이 외화대출이다. 미즈호뱅크나 미쓰이스미토모(SMBC) 등에서 빌린 엔화대출이다. 총 980억엔, 작년 말 환율기준으로 9343억원이다. 유동성장기부채의 83% 이상이 엔화대출이다.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보면 네이버의 엔화대출은 315억엔으로 3452억원 정도다. 단기차입금도 2362억원이다. 이 역시 전액 유동성장기부채다. 6000억원 넘는 대출이 연결자회사에 몰려있다는 뜻이다.
핵심은 종속회사 중 하나인 네이버제이허브(NAVER J.Hub)다. 2019년 일본 계열사 라인과 소프트뱅크 산하 야후재팬 간의 경영통합을 위한 주식공개매수를 목적으로 일본 현지에서 대규모 차입을 한 게 부채로 남아있다.
◇포쉬마크 인수로 현금유출·차입금 증가 전망
당시 현지차입을 위해 네이버는 네이버제이허브에게 971억엔 규모의 채무보증을 제공했다. 네이버제이허브의 지난해 매출이 4억원 정도로 별다른 사업을 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보유주식에서 나오는 배당수익이나 다른 재무적 활동을 통해 상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스란히 네이버의 부담으로 이어진다.

네이버 자회사 중에 가장 현금이 풍부한 네이버파이낸셜이 1조7000억원 정도를 들고 있는데 이는 네이버 커머스 플랫폼에 입점한 사업자들의 결제대금을 충당하는 용도라 함부로 꺼내 쓰기 어렵다.
이런 와중에 지난 1월 미국 커머스 업체 '포시마크(Poshmark)' 인수에 13억1000만달러(1조8751억원)을 투입했다. 자체 재원으로 조달한 금액은 약 4000억원 정도로 나머지는 차입 등에 의존했다.
작년 말 기준으로 네이버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연결기준 1조4533억원, 별도기준 1조4516억원이다. 차입금 총액 대비 영업현금흐름은 3배 정도, 부채비율은 50% 미만, 차입금의존도는 12.4% 수준이다.
아직은 부채규모가 크지 않고 현금창출력이 좋아 유동성에 큰 문제가 발생할 우려는 적다는 평이다. 다만 연내 갚아야 할 차입금이 조 단위를 넘고 있어 일부 투자자산 매각 등으로 실탄 마련에 나서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코스닥 주총 돋보기]엠로, 삼성SDS 중심 이사회 개편 '글로벌 정조준'
- 위세아이텍, 외형보다 '수익성 제고' 방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매출 성장 '신의 한 수' 베트남 진출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생활금융 확장' 핑거, 실적 위축 파고 넘나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유니트론텍, 외형 확장 M&A의 명과 암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신규 사업 '갤러리 운영' 진정성은
- [테마파크 경영 돋보기]롯데월드, 엔데믹 속 빛나는 '실내 테마파크'
- ‘사업구조 개편’ 제로투세븐, 영유아 화장품 주축 '中사업' 확대
- [이마트의 투자 5년]M&A로 품은 문화, '스타벅스·야구단' 셈법은
- [유통사 스포츠경영 리포트]농심 e스포츠, '1020세대 유인 매개' 독자법인 운영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최대 매출 계열사…덩치 대비 낮은 수익기여도
- 카카오페이, KP보험서비스 유증…네이버와 반대 행보
- '코인게이트' 사태의 본질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진모빌리티, 자금여력 빠듯…'토스 주담대'는 어쩌지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티맵, 아직 풍족한 현금…흑전은 2025년 전후로
- 웨이브-티빙 합병설 재부각, 유영상 SKT 사장 '재조명'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티맵, M&A로 대리·화물·공항버스·발렛까지 영토 확장
- LG그램, 미국 소비자 최고 평가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