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5월 15일 07시05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세계 최고 부자들을 줄 세워보면 상위 500명의 순자산이 10조달러를 넘는다. 국내에선 단 두 명만 올라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31위(84억6000만달러), 조정호 메리츠금융 회장이 408위(71억6000만달러)다. 한국 경제규모가 전세계 13번째로 큰데 순위가 좀 실망스럽다.왜 국내엔 초고액 자산가(UHNWIs)가 적을까. 국내 기업 특유의 지배구조 때문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집단 대부분은 지주사 체제로 묶여 있고 자회사가 그 아래서 중복 상장하는 형태를 띈다.
따라서 가치가 이중으로 계산되는 비효율, 이른마 ‘더블 카운팅’ 이슈가 생길 뿐더러 지주사 지분을 보유한 오너들은 굳이 주가 부양에 힘쓰지 않는다. 지주사 주가가 저렴할수록 지배권을 싼값에 행사할 수 있고 승계를 할 때도 세금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더벨 SR본부가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 2483개 기업을 조사했더니 지난해 말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도 안 된 기업이 1394개로 절반을 훨씬 넘었다. 특히 지주사 비중이 압도적인데 35%는 PBR이 0.3배도 못 미쳤다.
반면 슈퍼리치 1, 2위를 배출한 테슬라와 아마존, 그리고 구글(알파벳)은 모두 상장법인이 하나뿐이다. 버크셔 역시 수십개의 자회사를 가진 대규모 복합기업인데도 버크셔 해서웨이만 증시에 공개돼 있다. 투자자가 이 기업들의 핵심사업에 투자하려면 단일 상장사 외에 다른 통로가 없다는 뜻이다.
메리츠금융 사례도 눈 여겨볼 필요가 있다. 조정호 회장은 올 3월 메리츠금융 주가가 오르면서 이재용 회장을 잠시 밀어내고 국내 1등 부자 타이틀을 차지했다. 하루만에 2위로 원상복귀하긴 했지만 삼성과 메리츠금융그룹의 자산이 800조원 넘게 차이난다는 점에서 여전히 놀랍다.
메리츠금융은 지배구조가 단순하게 이뤄져 있다. 조 회장이 지분 51%를 보유한 메리츠금융이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 주식을 전량 소유 중이다. 원래 3개 회사가 모두 상장했었지만 2022년 말 ‘원 메리츠’ 체제 전환과 함께 상장사를 하나로 합쳤다. 국내 밸류업의 최고 성공 케이스로 불린다.
최근 기업들의 밸류업 정책이 배당에 쏠려 있는 것은 그래서 아쉽다. 투자자들은 오너나 경영진이 같은 배를 탔다고 여길 때 더 후한 가치를 준다. 이익을 공유한다고 믿을 수 있는 구조, 부의 열매를 함께 나눌 수 있는 구조부터 만들어야 저평가를 탈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배력은 그럴 책임을 수반하는 약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국책은행과 상장사의 '균형점'
- KB, 부코핀의 추억
- 2025년 더벨 수습기자 공개 채용
- 기업인 사외이사의 역할
- 프리미어, 1조 클럽의 무게
- 이음PE의 진가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불확실한 대외 여건, 기업 노력에 정책적 지원 병행돼야"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탈세계화 속 보호무역 '뉴노멀'…기업에 던지는 경고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새 정부 출범, 장기성장 위한 정책 설계 적기"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글로벌 저성장 기조 뚜렷, '트럼프 리스크' 상수화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금융사 이사회 평가]'안건 반대사유' 밝힌 금융사 3곳 불과…JB금융 두각
- [2025 금융사 이사회 평가]'평가개선 1위' iM금융지주…경영성과에 발목
- [금융사 규제자본 점검]자본성증권 '최다' 발행한 곳은 현대해상·한화생명
- ESG에 종말은 없다
- [금융사 규제자본 점검]'비은행 강화' 우리금융, 발행증가세 톱…KB 넘었다
- [the 강한기업/에스트래픽]상장후 첫 잉여현금 창출, 밸류업 '시동'
- [이재명 정부 출범]'자사주 태워라'…소각 압박 높아지는 상장사는
- [the 강한기업/에스트래픽]'가장 통과하기 힘든 문' 원동력은…기술중심 맨파워
- [the 강한기업/에스트래픽]서울 교통카드사업 손실, 미국 진출 교두보로
- [유동성 풍향계]삼성전자, 24년만에 은행 문 두드린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