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벤처, 농식품펀드의 '우등생' [농식품모태펀드 1기 성과]2개의 농식품펀드 운용, 목적성과 수익성 모두 '성공'
신수아 기자공개 2015-12-17 07:00:00
이 기사는 2015년 12월 15일 10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에셋벤처투자는 농식품투자조합 운용의 우등생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래에셋벤처투자는 2011년과 2012년 잇따라 농식품투자조합을 결성해 독보적 노하우를 쌓아왔다.미래에셋벤처투자(이하 '미래에셋벤처')는 지난 2011년 첫 농식품투자조합인 200억 원 규모의 '미래에셋애그로프로젝트투자조합(이하 '농식품펀드')을 성공적으로 결성했다. 농업바이오 업체를 시작으로 즉석밥 제조 업체 등 적재적소에 투자를 집행했다. 현재까지 총 8개 기업에 160억 원의 투자를 완료했다.
무균 즉석밥 제조·판매업체(H기업)는 농식품펀드 투자 이후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가치가 상승한 사례로 꼽힌다. 농업정책보험금융원이 주최한 투자로드쇼를 통해 미래에셋벤처와 만난 이 업체는 꾸준한 연구개발로 성장 가능성을 스스로 키워오던 상황이었다.
국내 최초로 무균 즉석밥 생산시설을 갖췄던 이 업체는 농식품펀드의 투자를 통해 공장을 증축하고 설비를 증설할 수 있었다. 이후 경영관리 부실로 어려움에 봉착하기도 했으나, 전문경영인과 회계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운용사의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난관을 극복했다.
미래에셋벤처의 노력은 후속펀드로 이어졌다. 이듬해 미래에셋벤처투자는 '노루미래애셋애그로스타프로젝트투자조합(이하 '농식품2호펀드')'을 다시 결성했다. 첫 펀드 운용을 통해 구축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리한 딜소싱의 고지를 점령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농식품2호펀드는 이미 60%의 주목적 투자를 모두 마쳤다. 14건의 투자를 통해 129억7000만 원을 집행한 상황이다. 포트폴리오는 한층 다각화됐다. 농림수산식품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제조업체를 시작으로, 진단키트 개발업체, 감귤껍질 원료 마스크팩 제조업체, 사료첨가제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업체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울렀다.
차근차근 축적한 농식품펀드 운용의 노하우는 수익성도 안겨줬다. 아직 한창 운용 중인 농식품2호펀드는 이미 2개 기업의 엑시트를 완료한 상황이다. 지난해 9월 투자한 A업체의 경우 원금의 4배를 회수하고도 아직 절반 이상 매도물량이 남아있어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키우고 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웅진 프리드라이프 인수]'9000억 빅딜' 숨은 조력자 면면 살펴보니
- 한앤코, SK엔펄스 파인세라믹스·CMP패드 사업부 매각 추진
- IMM크레딧, 8000억원 블라인드펀드 결성 순항
- [지앤푸드는 지금]홍경호 대표체제 복귀, 수익성 관리 방점
- 에이비즈-디에이밸류, 문화콘텐츠 출자사업 승기 비결은
- [thebell interview]허장 행공 CIO "이자 지급성 자산 확대, 사모신용 주목"
- [AACR 2025]일동의 아이디언스 쇼케이스 "듀얼 페이로드 ADC로 확장"
- [AACR 2025]지놈앤컴퍼니, 혁신 타깃 항체 'CNTN4-APP' 잠재력 입증
- [AACR 2025]펩트론 'ADC 증강제' IEP기술 "간단하고 높은 범용성 강점"
- [AACR 2025]신라젠-큐리에이터, 오가노이드 협업 '데이터 신뢰도'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