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명함관리앱 '리멤버' 지원 박차 드라마앤컴퍼니에 200억대 투자…서비스 고도화·일본 투자 활용
이정완 기자공개 2018-10-30 08:13:44
이 기사는 2018년 10월 26일 13:4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모바일 명함관리 어플리케이션(앱) '리멤버'를 운영하는 드라마앤컴퍼니에 손자회사 라인플러스와 함께 200억원을 출자한다. 드라마앤컴퍼니는 리멤버 서비스 고도화와 일본 법인 운영에 조달 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다.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12월 인수한 드라마앤컴퍼니 유상증자에 참여해 100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드라마앤컴퍼니는 보통주 9221주를 발행하기로 했는데 이를 증자 대금에 대입하면 주당 증자가액은 약 108만4000원 수준이다.
이번 유상증자에는 네이버의 손자회사인 라인플러스도 참여한다. 라인플러스는 보통주 9220주를 인수해 99억9000만원을 드라마앤컴퍼니에 지원하기로 했다. 유상증자는 이달 중 마무리할 예정이다.
드라마앤컴퍼니의 이번 유상증자는 운영자금 확보 목적이다. 드라마앤컴퍼니 관계자는 "리멤버가 국내 1위 명함관리 앱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R&D 지출을 늘릴 계획"이라며 "이번 유상증자 대금은 새로운 사업 투자 보다 기존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는데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드라마앤컴퍼니는 유상증자를 통해 지원받은 자금 중 일부를 자회사 일본 현지 법인에도 투입하기로 했다. 드라마엔컴퍼니는 지난 4월 20억원을 들여 일본 현지에 법인을 설립했다. 이후 5월에는 일본 내에서 최다 사용자를 확보 중인 '라인'을 통해 명함관리 앱 '마이브릿지'를 출시하기도 했다.
드라마앤컴퍼니가 국내에서 운영 중인 '리멤버'는 10월 현재 25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최대 명함관리 앱이다. 네이버와 라인플러스는 지난해 12월 벤처캐피탈 등 기관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던 지분 약 74%를 380억원 가량을 들여 인수했다. 네이버는 이후 유상증자와 구주 취득 등 방식으로 292억원대 자금을 드라마앤컴퍼니에 투입했다.
드라마앤컴퍼니는 리멤버의 수익성 창출을 위해 여러 수익 모델을 추진 중이기도 하다. 개인 이용자의 명함 입력은 무료로 지원하나 대량 명함 스캔은 유료로 제공하고 있다. 팀원과 명함을 공유하는 서비스인 팀 명함첩 관리 서비스도 유료 서비스로 운영 중이다. 이밖에 직장인을 대상 광고 등 수익 모델을 지속해 발굴하고 있다.
드라마앤컴퍼니의 장기 목표는 한국형 링크드인(LinkedIn)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리맴버의 인맥라운지 기능을 베타테스트 하면서 유저간 연결된 인맥들에게 사업 및 구인·구직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험적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드라마앤컴퍼니 관계자는 "리멤버의 가치는 디지털 명함첩을 통해 필요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찾아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링크드인 같은 구인구직 플랫폼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유상증자 또한 이 같은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드라마앤컴퍼니는 네이버에 인수된 후에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유예 통지를 받아 일정기간 계열사에서 제외된 상태라고 밝혔다. 공정위가 통지한 유예기간은 3년이다. 공정위는 지난해 이해진 GIO를 총수로 결론내리고 네이버를 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S네트웍스, 올해도 사모채 발행 전략 이어간다
- [이사회 모니터]DB금융투자, '관 출신' 선호...전군표 전 국세청장 영입
- DB금투, 단기차입 한도 '10년만에' 늘렸다
- [이사회 모니터]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 '구인난?'...이사회 구성 줄였다
- 코오롱, 올해도 사모채 일변도 이어간다
- 공모채 발행한 ㈜한진, 사모채 또 찍었다
- [이사회 분석]하이투자증권, DGB금융 색채 이어간다
- 공모채 미루는 현대위아, 이번에도 '현금상환'
- PF 리스크 대비 하이투자, '사후관리' 부서 힘싣는다
- [IPO 모니터]에스바이오메딕스, 수요예측 '연기'...특례상장 심사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