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9년 11월 01일 08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예전 취재과정에서 만난 세법 전문 변호사는 '한국 대기업 자연 소멸론'이라는 것을 소개했다. 창업주로부터 3대에 이르면 상속 과정에서 대부분 지분을 모두 상속세로 납부하고, 오너일가는 지배력을 상실한다는 내용이다.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최대주주 지분에는 상속세율 최고 65%가 적용되는 만큼 나름 일리 있는 말이다.최근 항공업계에서는 한 차례 '대한항공 매물설'이 나돌았다. 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사망 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일가가 유산 상속을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다는 데서 '매물설'이 시작한다. 상속에 합의하지 못하고, 상속세를 낼 재원도 마련하지 못하면서 결국 각자 지분을 정리하고 자연인으로 돌아간다는 시나리오였다.
'대한항공 매물설'을 접하면서 '한국 대기업 자연 소멸론'이 떠올랐다. 마침 조중훈 창업회장으로부터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까지가 딱 3대째였다. 조 회장과 상속인들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활용할 개인 자산도 많지 않다고 알려졌다. 상속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진칼 주식 외에 딱히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도 뚜렷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조 회장 등 오너일가는 잡음 없이 상속을 마무리했다. '오너일가 갈등설'은 자연 소멸됐고, 각 계열사 지분은 사이 좋게 법정상속비율대로 나눴다. 다른 상속재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회장으로, 전무로, 고문으로 경영에 참여하며 집단 경영체제 구축 가능성도 열었다. 3대째를 맞은 한진그룹 오너일가는 소멸되지 않았다.
상속이 마무리 됐고, '오너일가 갈등설'도 근거 없는 소문으로 끝났다. 이제 '대한항공 매물설'을 거둬들일 차례다. '한국 대기업 자연 소멸론'은 4대째에 가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조 회장 대에서는 '근거 없는 낭설'이 될 듯하다.
다만 이 모든 '설'들이 이번 기회에 허무맹랑한 뜬소문으로 완전히 사라지기 위해서는 한 가지 노력이 더 필요한 것 같다. 유산 상속에서 보여준 것처럼 오너일가의 합의와 화합이 향후 한진그룹 경영에서도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 물론 회사로 영역을 넓히면 가족 외에 임직원과 주주들로 합의와 화합의 대상이 더 넓어진다.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시장에서 주주들에게 인정 받아야 비로소 최대주주 지위와 경영권 상속이 마무리 되는 것 아닐까.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