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지배구조 개편]주총통과에 필요한 66.7%, 국민연금·외국인 설득 관건소액 주주 39%, 자사주는 11.7%…밸류업·분기배당 카드 동원
원충희 기자공개 2021-04-16 07:44:28
이 기사는 2021년 04월 15일 09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텔레콤의 기업분할은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출석주주의 3분의 2 이상, 즉 66.7%의 동의를 얻어야 실현 가능하다. 국민연금과 38%가 넘는 외국인 주주들의 표심이 향방을 가를 전망이다.SK텔레콤의 주주구성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SK㈜가 26.8%, 국민연금이 11%, 시티은행 ADR(미국주식예탁증서)이 8.4%, 자사주 11.7%, 지분 1% 미만 소액주주들이 39% 등이다. 의결권 없는 자사주를 제외하면 국민연금과 소액주주가 주요 주주로 구성됐다. 외국인 지분율이 38.7%인 점을 감안할 경우 소액주주 상당수는 외국인으로 추정된다.

SK텔레콤이 추진하는 회사분할은 주총 특별결의 사안이다. 법규상 발행주식총수 의결권 3분의 1 이상,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의결권 주주가 모두 투표에 참석한다고 가정할 경우 최소 66.7% 이상의 찬성표를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 결국 기업분할 성사여부는 국민연금과 외국인 표심에 달려있다.
SK텔레콤의 2대 주주인 국민연금은 그간 기업분할 안건에 대해 찬반이 엇갈렸다. 가장 최근인 지난해 12월 대림산업 분할안건은 찬성했다. 대림산업은 DL홀딩스와 DL이앤씨로 인적분할하고 DL홀딩스에서 DL케미칼을 물적분할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앞서 작년 10월 LG화학 분할안건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2차전지 분야가 각광받으며 LG화학의 주가상승이 이뤄졌는데 배터리사업 부문이 물적분할을 통해 자회사로 나갈 경우 주주가치가 훼손된다는 이유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2019년 5월 대우조선 인수를 위한 현대중공업 물적분할은 찬성, 2014년 7월 만도를 지주회사인 한라홀딩스와 사업회사인 만도로 분리하는 안건은 반대했다. 인적분할이라고 무조건 찬성하지 않으며 물적분할이라 해서 무조건 반대하는 것도 아니다.
이번 SK텔레콤의 기업분할은 유·무선 통신사업(존속법인)과 ICT 투자부문(신설법인)으로 나누는 인적분할이다. 존속회사에 이동통신(MNO) 사업과 SK브로드밴드 등을, 신설회사에 SK하이닉스, 티맵모빌리티, 11번가, ADT캡스 등 신사업(New Biz) 계열사들을 두기로 했다.
SK텔레콤이 주주표심을 잡기위해 꺼낸 카드는 기업가치 제고와 분기배당이다. 분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증권가에선 SK텔레콤 목표 주가를 속속 상향하고 있다. 22조원 가량이던 밸류(시가총액)가 분할 후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를 합쳐 약 3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또 기존 주주는 존속회사와 신설회사의 주식을 모두 갖게 돼 양쪽에서 배당을 받는 게 가능하다. 물적분할에 비해 주주가치에 좋은 방식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시장에서 중간지주회사의 저평가 요소로 지목했던 SK㈜와의 합병도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발표, 단기리스크를 없앴다.
아울러 중간지주사 설립과 사업회사 분리를 결의하며 분기배당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지금까지는 1년에 최대 두 번 배당하는 중간배당을 했지만 앞으로는 네 번까지 배당하는 분기배당을 하겠다며 소액주주 달래기에 나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영국 RBS
- '환경 변화 고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계속 키운다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i-point]신테카바이오, ‘2025 글로벌 IP 스타기업’ 선정
- [i-point]채비, 서울시 전기버스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자 선정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한화오션]지분 파는 2대주주 산은, '의결 참여권' 향방은
- [지배구조 분석/한진칼]외부주주들 영향력 확대, '양날의 칼' 우군
- [Financial Index/금융지주]자본력 풍족한 KB, 보완자본 의존도 큰 우리
- [지배구조 분석/신영증권]자사주만 51%, 소각 못하는 이유
- 코리안리의 지배구조 시험대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