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코리아 예상 거래가격 얼마나 될까 에비타 배수 10배 적용시 기업가치 6000억 전망
김경태 기자공개 2021-09-15 08:05:46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4일 10: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보유한 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의 매각가는 어느 정도 수준에서 형성될까. 최근 있었던 식음료(F&B)업체 매각 사례에 비춰볼 때 기업가치(EV)는 6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순차입금을 고려할 경우 지분 100% 매각가는 4000억원 정도 수준이 거론된다.앞서 어피너티는 2016년 VIG파트너스(옛 보고펀드)가 보유하던 버거킹 운영사 비케이알 지분 100%를 2100억원에 인수했다. 인수 직전 해인 2015년 비케이알의 연간 상각전이익(EBITDA)는 184억원, 순현금은 41억원이다. 기업가치(EV)를 EBITDA로 나눈 멀티플 배수는 11배 가량이다.
앞서 F&B기업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거래에서도 유사한 수준의 멀티플 배수가 적용됐다. 가장 최근에 완료된 동종업계 햄버거 프랜차이즈 해마로푸드(맘스터치) 매각의 밸류에이션을 준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케이엘앤(KL&)파트너스는 2019년 해마로푸드서비스 경영권을 인수했다. 당시 멀티플 배수는 10배였다.
다른 F&B업체 매각도 비슷한 수준의 멀티플 배수를 나타냈다. 밀크티 프랜차이즈 공차 운영사 공차코리아, 패밀리 레스토랑 운영사 아웃백코리아 등도 10배 수준에서 거래가 성사됐다. 노랑통닭은 10배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에 거래됐다.

어피너티가 인수한 뒤 비케이알은 매년 외형을 불렸고 영업 흑자를 지속했다. EBITDA도 인수하던 시점보다 크게 증가했다. 작년 연간 약 590억원으로 2016년 대비 3배 수준으로 늘었다.
단 2019년부터 적용된 IFRS16의 회계기준 변경으로 인해 EBITDA를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그 동안 비용으로 인식된 매장 임대료가 리스부채로 계상되고, 손익계산서 상에서는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용으로 처리되면서 EBITDA가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EBITDA를 토대로 버거킹 매각에도 유사한 멀티플 배수(10배)가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단순 계산하면 기업가치는 6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집계된다. 비케이알은 작년 말 기준 순차입금 1894억원을 나타냈다. 이를 고려한 지분 100% 가치는 4005억원으로 추산된다.
만약 입찰이 흥행해 어피너티가 버거킹을 인수하던 때 적용된 멀티플 배수(11배)가 적용될 경우 EV는 6500억원, 지분가치는 46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는 버거킹코리아를 운영하는 비케이알의 매각가만 추산한 것이다. 어피너티는 롯데지알에스(GRS)로부터 2019년 일본 버거킹 소유권을 약 100억원에 사들였다.
투자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한·일 법인을 동시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양국 법인을 통매각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는데 이 경우 전체 매각가는 더 올라가게 될 전망이다.
다만 일부 PEF 운용사 등에서는 분리 매각이 이뤄질지도 주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국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버거킹의 입지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국내보다는 버거킹을 성장시킬 여지가 더 있다고 보고 관심을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세종vs김앤장, 실물시장 최강자 두고 '진검승부'
- [thebell League Table]왕좌 지킨 삼일PwC, 딜로이트안진·삼정KPMG도 추격 가속
- 해외 초대형 SI, 일진머티리얼즈 M&A '다크호스' 급부상
- 박용만 회장의 벨스트리트파트너스, 사업확장 본격화하나
- '예비 유니콘' 그린랩스, 본업 아닌 금융업 진출 노림수는
- 카드 많은 글로벌 PEF, '일진머티리얼즈 M&A' 판 흔드나
- IFC보다 신금투 사옥? GIC, 이지스자산운용과 '맞손' 협의
- 공무원연금, 해외 PDF 운용사 '골럽·베어링·골드만' 낙점
- [남양유업 M&A 법정다툼]'홍원식·한상원' 독대의 시간 관통한 부동산 이슈
- '최적 타이밍' 롯데몰 광명점 딜클로징, 교공·과기공 '방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