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엑스엘게임즈 영업권 상각 시작 [게임사 M&A 러시]②대부분 라이온하트…엑스엘, 753억 중 241억 손상
원충희 기자공개 2022-05-25 09:28:04
[편집자주]
게임업계에선 지난해 인수합병(M&A) 큰 장이 섰다. 상장 덕분에 목돈을 쥐거나 그간의 실적흥행을 바탕으로 현금을 차곡차곡 쌓아왔던 게임사들이 잇달아 보따리를 풀었다. 게임개발 경쟁력 강화와 사업 다각화, 신사업 진출 등 M&A 목적도 다양했다. M&A는 기업의 체질과 재무구조에 큰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다. 더벨은 각종 숫자와 지표를 토대로 이들이 M&A를 통해 추구하는 바와 재무구조 변화를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3일 06:3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게임업계에서 개발역량 강화와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M&A)은 필연적으로 영업권 증가로 이어진다. 개발사들은 몇몇 키맨들 중심으로 설립되는 벤처 스타트업에 가깝기 때문에 재무상태가 양호한 편은 아니다. 맨파워와 IP 확보를 목적으로 한 M&A는 당연히 웃돈을 얹어주고 진행되는 만큼 피인수사의 순자산가치를 제외하고 인수대금의 상당부분은 영업권으로 처리된다.카카오게임즈 역시 수많은 개발사들을 인수하면서 영업권이 대폭 늘어났다. 이 가운데 흥행작 '오딘'을 만든 라이온하트는 지분가치가 크게 증가한 반면 아직 이렇다 할 작품이 안 나온 엑스엘게임즈 같은 곳은 손상차손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라이온하트 3년새 기업가치 24배 껑충, 영업권 증가분의 대부분 차지
카카오게임즈의 지난해 말 영업권 규모는 1조4170억원으로 전년(1101억원)대비 10배가량 늘었다. 이 가운데 1조2586억원이 라이온하트스튜디오에서 나왔다. 영업권은 인수대가가 피인수사의 순자산가치보다 많을 때 생기는 권리금 성격의 무형자산이다. 주로 경영권 프리미엄, 개발역량 등 회계적으로 산정할 수 없는 무형자산의 대가다.

카카오게임즈는 2018년 50억원을 투자해 라이온하트 지분(8%)을 처음 확보했다. 2020년 2분기 중 추가 매수로 21.58%까지 늘린 뒤 지난해 11월 유럽법인을 통해 30.37%를 또 사들였다. 총 51.95%로 과반을 확보하면서 경영권을 쥐었다. 이전대가는 1조6982억원으로 현금 4466억원, 주식 7087억원, 차후 실적에 따라 지급할 조건부대가가 5429억원이다. 그 중 74.1%가 영업권으로 분류됐다.
2018년 처음 살 때는 주당 8만3333원이었는데 작년에 인수할 때는 주당 199만7691원을 지불해야 했다. 3년 새 기업가치가 24배 이상 커진 셈이다. 이 회사에서 출시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오딘이 대박을 내면서 큰 폭의 밸류업을 이뤄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게임시장은 중소사도 대박 작품 하나만으로도 기업가치가 대형사를 넘을 수 있을 만큼 역동적인 곳이라 자금여력이 되는 업체들은 M&A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크래프톤의 펍지, 카카오게임즈의 라이온하트 등이 대표적인 성공사례"라고 말했다.
◇엑스엘게임즈, 인수 2년 만에 손상차손 이뤄져

그럼에도 카카오게임즈가 기업가치를 2400억원 이상으로 평가하고 품은 이유는 송재경 대표를 비롯한 엑스엘게임즈 개발자들의 역량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송 대표는 넥슨의 '바람의 나라' 개발과 엔씨소프트의 '리니지'의 초기개발을 전담해 '리니지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타개발자다. 일명 송재경 사단이라 불리는 엑스엘게임즈 개발팀은 '아키에이지'와 '달빛조각사' 등 대형 MMORPG를 잇달아 만든 경험이 있다.
상장 전이었던 카카오게임즈로선 퍼블리싱(배급) 사업능력은 좋았지만 개발역량이 부족한 탓에 MMORPG을 개발할 수 있는 업체를 물색하던 중 엑스엘게임즈와 손을 잡게 됐다. 지난 2년간 아직은 이렇다 할 성과가 나오지 않는 탓에 영업권 손상차손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연수 한글과컴퓨터 대표, 자사주 매입
- 롯데호텔 서울, 여름 공략 카드 '프리미엄 홈시네마'
- 새마을금고, ‘최빈국’ 라오스에 금융포용 모델 이식
- [Market Watch]미매각 물량, 주관사 '떠넘기기'...발행사들 선넘었나
- [IB 수수료 점검]ICH·수산인더 잇달아 상장, 삼성증권 최대 60억 기대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엔씨소프트, '리니지' 신화 넘어설 대안 모색
- 동남아 기프트콘 운영사 쉐어트리츠, 150억 유치 완료
- 첫 중간배당 SFA, 1조 이익잉여금으로 주가 제고 승부
- SK실트론, 하이닉스 기대지 않고 '홀로서기' 성공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실트론, 하이닉스 기대지 않고 '홀로서기' 성공
- 삼성전자, 매출 86%가 해외계열사 거래...구조적 이유는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테크기업 내부거래 점검]네이버·카카오 B2B 계열사들, 감시망 벗어난 이유
- 반도체 기판에 진심인 삼성전기, 유례없는 대규모 투자
- 크래프톤, 펍지 합병해 사익편취 리스크 해소
- 3년여만에 열린 삼성 사장단회의, 과거와 다른 점은
- 넷마블, '제2의 나라' 흥행의 역설
- [테크기업 내부거래 점검]대기업 된 두나무, 일감 몰아주기 타깃 피했다
- 넥슨, 오너 가족회사 내부거래 의존도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