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선 네이버 CFO "주주환원 줄어들수도…대신 현금배당" 취임 후 첫 중장기 배당정책 발표, 재무건전성 방어·주주 달래기 목적
이지혜 기자공개 2023-05-09 13:43:09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8일 15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진)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주주환원을 현금배당으로만 진행하되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대규모 투자에 힘쓴 만큼 재무건전성을 방어하기 위해서다. 또 보유한 자사주 일부를 소각할 계획도 세웠다.이는 김 CFO가 그간 보인 행보에도 부합한다. 그는 2022년 취임하자마자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는 대신 그만큼 현금배당을 실시해 주주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봤다. 올 3월 정기 주총 때도 네이버의 배당금이 낮다는 주주의 지적이 많았는데 이를 반영한다는 명분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주주환원 규모 줄어드나, 재무건전성 방어 목적
네이버는 8일 열린 '2023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3개년 주주환원 정책을 공개했다. 앞으로 3년 동안 2개년 평균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를 현금배당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네이버의 연결기준 FCF는 2021년 5373억원, 2022년 2931억원이다. 2개년 평균 FCF는 4152억원으로 이를 기준으로 추산한 주주환원 규모는 623억~1246억원이다.

예년 대비 주주환원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네이버는 2020년 1월 30일 '3개년 주주환원정책'을 공개할 당시 최근 2개년 평균 연결 FCF의 30%를 주주환원재원으로 설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주환원 규모 축소 가능성을 내비친 이유는 재무건전성을 방어하기 위해서다. 김 CFO는 "몇 년간 투자로 늘어난 차입금 일부를 우선 상환해 부채비율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라며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대비 차입금(Debt to EBITDA) 비율을 2~2.5배 사이로 유지하기 위한 차입금 상환계획을 주주환원정책에 반영해 설계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 5년 동안 데이터센터 '각 세종' 구축, 1784 신규사옥 건설, 인공지능(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인프라 장비 구매 등으로 자본적지출(CAPEX)이 급증했다. 미국 커머스 업체 '포시마크'를 인수하는 등 M&A에도 조 단위로 돈을 썼다.
네이버의 총차입금이 불어난 배경이다. 2017년 말까지만 해도 네이버의 연결기준 총차입금은 4109억원이었지만 지난해 말에는 4조1966억원으로 10배가량 늘다.
◇주주환원 모두 현금배당으로, 배당성향은 높아질 듯
다만 주주환원을 모두 현금배당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배당성향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김 CFO는 "과거에는 환원 중 일부를 장내 자사주 취득으로 실천했지만 앞으로 3년간은 전부 현금배당으로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런 원칙을 올해 적용한다면 2022년 회계연도에 대한 주주환원 예상규모는 620억~1200억여원이 산정되고 이사회 결의 후 중간배당으로 올해 3분기 내에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가 국내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전직원을 대상으로 주식보상 제도를 운영하기 때문이다.
자본시장법과 회사법에 따르면 발행사가 자사주를 취득하거나 처분할 경우 그 전후로 3~6개월간 추가 처분이나 취득에 제한이 생긴다. 이에 따라 직원을 대상으로 주식보상 제도를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데 현실적 어려움이 발생했다. 주주환원재원을 모두 현금배당으로 지급하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주주환원 규모는 줄어도 배당성향은 높아질 수 있다. 네이버의 2021년 현금배당금으로 763억원을 지급해 배당성향 0.5%, 지난해에는 1371억원의 현금배당을 진행해 배당성향 18%를 기록했다.
작년 현금배당성향이 대폭 높아진 것도 김 CFO의 작품이었다. 그는 임기 첫해인 지난해 주주환원정책에 손을 대서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는 대신 그만큼 현금배당을 실시했다. 더구나 최근 네이버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이 적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는데 이런 의견을 반영했다는 명분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네이버는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 8% 가운데 3%(총 발행주식 기준)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네이버의 현재 주가 기준으로 1조원이 넘는 규모다. 네이버가 자사주를 M&A와 전략적 제휴 등의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해온 것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행보다.
김 CFO는 "네이버의 자사주 활용 방식에 대한 외부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혼란, 일각에서 편향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앞으로 3년 동안 해마다 1%씩 소각할 계획"이라며 "다만 임직원 주식 보상 제도를 위한 재원으로, 장기적으로 자사주 보유량을 총 발행주식 수의 5% 이내로 일부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감액배당 리포트]엘앤씨바이오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순기능 표본
- [Financial Index/포스코그룹]그룹 수익성 '30%' 감소, 나홀로 성장한 스틸리온
- [Deal Story]신종자본증권 '대흥행' 우리금융, 4000억 증액 확정
- [소노인터내셔널 IPO]모나용평의 추억, 다시 만난 미래에셋·대신증권
- 계열분리 SK스페셜티, 최대 3500억 회사채 조기상환 착수
- SBS, 최대 1500억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 타진
- [아이티켐 IPO]5년만에 실적 '레벨업' 가능했던 배경은
- [IB 풍향계]대형스팩 허들 넘은 삼성증권, IPO 확장 '드라이브'
- [소노인터내셔널 IPO]가치 산정, PER·PBR 불리…에비타멀티플 꺼내들까
- 한양학원의 자충수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OOP, '규제·업황·비용' 탓 목표주가 '뚝'
- 두비덥, 보컬 커스터마이징 특허 '완료'…K팝 팬덤 정조준
- [thebell interview/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의 이머시브 콘텐츠 '관객이 주인공 되는 시대'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B2C 진출' 바우어랩, 300억 밸류 시리즈B 도전
- [콘텐츠산업, 한계 넘는 기업들]바우어랩, 이머시브 콘텐츠로 엔터산업 '새 지평'
- [강소 콘텐츠사 톺아보기]두비덥, 사업 개시 3년 만에 흑자 '공공 도서관 뚫었다'
- 하이브, 바이너리코리아 정리…게임·AI오디오 '집중'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SLL중앙 기대감' 콘텐트리중앙 CB 발행 순풍
- 카카오엔터, 스토리사업 대통합…신임 부문장에 박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