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인사 코드]김민철 ㈜두산 사장, 박정원 회장 믿음 '증명'②사업 분할·매각, 두산에너빌리티 지원 임무 '진두지휘'
박기수 기자공개 2023-01-31 07:39:23
[편집자주]
기업 인사에는 '암호(코드, Code)'가 있다. 인사가 있을 때마다 다양한 관점의 해설 기사가 뒤따르는 것도 이를 판독하기 위해서다. 또 '규칙(코드, Code)'도 있다. 일례로 특정 직책에 공통 이력을 가진 인물이 반복해서 선임되는 식의 경향성이 있다. 이러한 코드들은 회사 사정과 떼어놓고 볼 수 없다. THE CFO가 최근 중요성이 커지는 CFO 인사에 대한 기업별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해독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6일 16:19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이 작년 2월 말 채권단 관리 체제를 조기졸업 하면서 그룹 전체를 조여왔던 구조조정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문제의 진원지는 두산에너빌리티였지만, 구조조정의 범위는 그룹 전체였다. 비핵심자산 뿐만 아니라 두산그룹의 현재이자 미래를 대표했던 주요 계열사들의 매각도 있었다. 지주사 ㈜두산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김민철 사장(사진)의 어깨가 무거울 수밖에 없었다.
김 사장은 부임 이후 현재까지 5년 동안 지주부문 재무를 총괄하면서 CFO 부임 당시이자 현재 두산그룹 회장인 박정원 회장의 믿음에 보답했다.
두산그룹을 둘러싼 재무 위기는 2010년대부터 지속됐지만 뇌관은 2020년에 터졌다. 코로나19 등으로 유동성 위기가 닥치면서 두산에너빌리티가 국책은행으로부터 3조원이라는 긴급자금을 수혈받으면서 자구안을 제출했다. 자산매각과 유상증자 등 자구안을 작성한 두산에너빌리티의 각오는 '어떤 자산이든 매각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지주사 ㈜두산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지주사 차원에서 핸들링하고 지원하는 임무를 갖게 됐다.
CFO 부임 이후 초반 김 사장의 주요 성과는 2019년 중순 두산솔루스(현 솔루스첨단소재)와 두산퓨얼셀의 인적분할을 결정한 것이다. 각각 전지박/동박,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했던 두 법인은 ㈜두산 내 사업 부문으로만 자리매김하고 있어 몸값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적분할 이후 두 법인은 2020년대로 접어들면서 친환경 사업이 시장에서 주목받자 몸값이 7~8배 이상 폭등했다.
이 인적분할은 결국 추후 두산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두산솔루스 매각을 통해 수천억원의 현금을 쥐었고, 두산 오너 일가들은 보유하고 있던 두산퓨얼셀 지분을 두산에너빌리티에 무상 증여하면서 두산에너빌리티의 자본 확충을 이끌어냈다.
이후에도 김 사장과 ㈜두산은 자산매각과 자산 재배치를 통해 채권단 관리의 아픔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 2020년 두산타워 매각(8000억원), 네오플럭스 매각(711억원), 두산솔루스 매각(2382억원)에 이어 모트롤사업부 매각(4530억원) 등 자산 유동화를 통해 두산에너빌리티에 쏴줄 현금뭉치를 마련했다. 이듬해인 2021년에도 산업차량BG를 두산밥캣에 매각(7500억원)했다.
이외 2019년 말과 2021년 4월 각각 두산메카텍과 두산퓨얼셀 지분을 두산에너빌리티에 전량 현물출자하면서 두산에너빌리티가 향후 유동화할 수 있는 자산이 많아지도록 재배치 작업도 시행했다. 그 대가로 두산에너빌리티의 신주를 받았다. 이는 작년 8월 말 ㈜두산이 두산에너빌리티 지분을 일부 처분하면서 5722억원의 현금으로 유동화하는데 일조했다.
작년 2월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마쳤던 ㈜두산은 두 달 뒤인 4월 테스나 지분을 취득하면서 신사업에 몰두하고 있다. 26년 동안 두산에 커리어를 바치며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진두지휘했던 김 사장은 다시 태어난 두산그룹의 재무 중책으로 계속 활동할 전망이다. 김 사장의 이번 CFO 대표이사 임기는 내년 3월 말까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엠투엔, 작년 순이익 '흑전' 성공
- 대양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 개선 경진대회 금상 수상
- 모아데이타, 지난해 '최대 매출' 217억원 달성
- [상장 리츠(REITs) 대해부]롯데리츠, 운용자산 '11조+α' 목표
- 대동기어, 노재억 신임 대표이사 선임
- GTF "자회사 엘솔루, 코트라에 AI 번역솔루션 공급"
- [챗GPT발 AI 대전]'디지 AI' KT, 'B2B 친화+감성케어' 초거대 AI 차별화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덩치 커져도 평가 제자리, 후계자 백인환 사장 나섰다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자비용 분석]장·단기차입 '쌍끌이' 엘앤에프, 금리 상승에도 '굳건'
- [이자비용 분석]금리 상승에 단기금융상품으로 대응한 삼성SDI
- [이자비용 분석]LG에너지솔루션, 골든타임 IPO가 가져다 준 선물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한솔그룹]한솔제지 생존전략, 홀딩스가 주목하는 이유는
- [CFO 인사 코드]한솔그룹 CFO의 요건 '내부 성장 인력'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한솔그룹]한솔로지스틱스, 매출 '1조' 최초 돌파 배경은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한솔그룹]한솔테크닉스의 차환 지원군 '아이원스'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한솔그룹]조동길·조동혁 회장 형제 지분구조 '완벽 이원화'
- [SK온의 승부수]2026년까지 블루오벌 투자 '5.7조' 필요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푸틴'발 나비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