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쇄신’에 방점 둔 임종룡호…그룹 전체 경영진 싹 바꿨다14개 자회사 중 임기 만료 CEO 9명 교체…지주·은행 경영진 90% 물갈이
고설봉 기자공개 2023-03-08 08:24:50
이 기사는 2023년 03월 07일 18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내정자의 첫 메시지는 쇄신이었다. 취임을 앞둔 임 내정자는 자회사 대표이사(CEO)와 우리지주 및 우리은행 경영진 대폭 물갈이를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14개 자회사 CEO 가운데 임기 만료를 맞은 9명 전원이 교체됐고, 지주와 은행 경영진 90%가 세대교체됐다.우리금융그룹은 7일 임종룡 신임 회장 내정자의 취임에 앞서 새로운 조직혁신과 미래경쟁력 확보라는 신임 회장의 경영 전략 방향을 반영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자회사 CEO와 지주와 은행 경영진을 전면 교체했다.
임 내정자는 회장 취임 전부터 지배구조 선진화 의지를 드러냈다. 지난해 말부터 지연된 자회사 CEO와 지주와 은행 경영진 인사를 일괄(One-shot) 실시하는 개편을 단행했다. 취임 전 대폭 인사를 통해 조기에 경영 안정성을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임 내정자와 우리금융지주 이사회 자추위는 이날 임기 만료를 맞은 8개 자회사 CEO를 전부 교체했다. 우리카드와 우리금융캐피탈, 우리종합금융, 우리자산신탁, 우리금융저축은행, 우리자산운용, 우리펀드서비스, 우리경영연구소 등이다. 더불어 용퇴한 이원덕 우리은행장 후임도 새롭게 뽑을 예정이다.
신임 자회사 CEO들은 우리지주와 우리은행 경영진들이 대거 등용됐다. 비교적 세대교체 요구에부합하는 1960년대 중후반 생들을 자회사 CEO로 내세워 혁신을 추진했다는 평가다. 더불어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해 쇄신을 꾀하기도 했다.

우리카드 CEO에는 박완식 우리은행 개인·기관그룹장이 추천됐다. 1964년생 박 신임 사장은 국민대 무역학과를 졸업했다. 현장에서 본부장 생활을 오래하며 영업통으로 평가 받는다. 우리은행 영업추진부장, 중소기업그룹 상무, 개인그룹 겸 디지털금융그룹 상무, 영업·디지털그룹 집행부행장보 등을 역임했다.
신임 우리금융캐피탈 CEO에는 조병규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이 낙점됐다. 1965년생 조 신임 사장은 경희대 경제학과를 나왔다. 우리은행 강북영업본부 본부장, 준법감시인,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 등을 거쳤다.
우리종금 CEO로는 김응철 우리은행 외환그룹장이 선임됐다. 김 신임 사장은 1966년생으로 한양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우리금융지주 글로벌기획부장, 우리은행 본점1기업영업본부 본부장, 글로벌그룹 부행장보, 외환사업단 부행장보 등을 역임했다.

우리자산신탁 CEO로는 이종근 우리지주 경영지원부문 전무가 발탁됐다. 1964년생 이 신임 사장은 고려대 행정학과를 거쳐 영국 버밍엄대대학원 MBA를 졸업했다. 우리신용정보 기타비상무이사, 우리펀드서비스 기타비상무이사, 우리금융지주 경영지원단 상무 등을 역임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 CEO로는 전상욱 우리지주 미래성장총괄 사장이 낙점됐다. 전 신임 사장은 1966년생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금융공학 석사를 졸업했다. 다수의 연구실적과 전문지식을 가진 통계 및 리스크 관리 전문가다.
우리펀드서비스 CEO는 김정록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이 내정됐다. 1962년생 김 신임 사장은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우리은행 송파영업본부장을 거쳐 IB그룹 상무,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보, 준법감시인 등을 역임했다.

임 내정자는 이날 용퇴 뜻을 밝힌 이원덕 우리은행장 빈자리는 추후 이사회 논의를 거쳐 자추위에서 별도 선임할 예정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는 이날 선임하지 않았다. 역시 추후 별도 선임 예정이다.
더불어 임 내정자는 우리지주와 우리은행 경영진도 대폭 물갈이했다. 우리지주 임원은 기존 11명에서 7명으로 줄이고 6명을 교체했다. 우리지주 전체 인력도 약 20% 정도 감축하고 회장 비서실(본부장급)도 폐지했다.
우리은행 역시 이날 조직개편을 통해 임원의 수를 기존 19에서 18명으로 감축했다. 18명 중 12명을 교체하며 쇄신을 단행했다. 영업실적이 뛰어난 여성본부장 등 영업 현장 중심의 본부장급 인력을 전진 배치해 세대교체도 단행했다.
신임 CEO 및 경영진은 각사 주총이 열리는 오는 22~23일 취임할 예정이다. 곧바로 각사 인사와 조직개편에 나서며 새로운 지배구조에 맞게 전체 조직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이원덕 우리은행장은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이 행장은 오는 12월 31일까지 임기가 남았지만 임종룡 우리금융 내정자 취임을 앞두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이 행장 후임은 정해지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위아, 관세전쟁 여파 수익성 하락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