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라이프생명 통합 첫해, 연초 CSM 규모 3조 통합법인 첫해 새 회계지표 공개…합병 후 양사 사업보고서 눈길
서은내 기자공개 2023-03-23 08:09:45
[편집자주]
보험업권에 부채의 시가평가를 기본으로 하는 IFRS17 회계기준이 도입되자 보험사 재무지표에 대한 셈법이 크게 바뀌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지표가 보험계약마진, 즉 CSM(Contract Service Margin)이다. CSM의 변동을 보면 해당 보험사가 보유한 계약들에 대한 수익성을 비롯해 회사의 가정 및 계리적 역량, 신뢰성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 평가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벨은 주요 보험사들의 CSM의 변화와 그 의미를 분석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2일 14:2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보험사별 2022년 사업보고서가 공개되면서 시행 첫해를 맞은 새 회계제도와 관련한 주요 지표들도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KB라이프생명은 올해 통합 법인으로 출범했으나 지난해 재무보고서는 통합 전 상태로 양사 각각의 개별 재무제표를 제출했다.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KB생명과 푸르덴셜생명의 지난해 연말 보험계약마진(CSM)은 단순 합산시 약 3조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CSM은 새 회계기준(IFRS17) 시행으로 새로 도입된 재무지표다. 미래에 보험계약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인식하게 되는 미실현이익의 개념이다.
KB생명의 전환시점(2022년 1월 1일) CSM은 4452억원으로 평가됐으며 1년 후인 2022년 말 기준 CSM은 7380억원 수준으로 1년 사이 약 2928억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푸르덴셜생명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CSM은 지난해 연초 1조4191억원에서 연말 기준 2조1961억원으로 같은 기간 7770억원 증가했다.
양사 수치를 단순 합산하면 총 CSM은 연초 1조8643억원에서 연말 2조9341억원으로 약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계산된다.
KB라이프생명은 KB생명, 푸르덴셜생명 모두 IFRS17 전환방식으로 3년 수정소급법을 택하고 그에 따라 보험계약부채를 평가했다. 전환일 직전 3년(2019년~2021년) 이내에 발행된 보험계약에 대해서는 완전소급법을, 그 이전에 발행된 보험계약에 대해서는 공정가치법을 적용해 보험계약부채 평가액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같은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 KB생명의 지난해 연말 보험계약부채는 7조8745억원이며 푸르덴셜생명은 같은 시점 14조3713억원으로 평가됐다. 기존 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만 보면 지난해 말 KB라이프생명 부채 규모는 10조503억원, 푸르덴셜생명은 20조9633억원이다. 양사 각각 회계기준 전환으로 부채 규모가 2조원, 5조원 이상씩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KB라이프생명은 출범과 동시에 IFRS17과 K-ICS 도입 첫 해를 맞이했다. 새 기준에 맞춰 신계약 CSM을 높이는 방향으로 경영의 초점을 맞춰갈 계획이다. KB라이프생명 관계자는 "기존 보유계약의 CSM이 과거의 성과라면 신계약 CSM은 현재 새로 창출되고 있는 성과인만큼 KB라이프생명은 신계약CSM을 핵심 지표로 삼고 보험 본연에서의 성장을 추구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사들은 지난 3월 중순 이후 2022년 사업보고서를 각각 공시해오고 있다. 2023년부터 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가 시행되면서 올해 공시하는 지난해 기준 보고서에서도 새 제도에 따른 영향을 주석을 통해 미리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 사업보고서는 새 제도 영향을 설명하는 정도로 정보가 공개되고 있으나 2023년 1분기 보고서부터는 아예 새로 바뀐 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며 여러 공시 사항들의 기재에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BNK금융은 지금]가닥 잡힌 '투뱅크' 체제, '비용·인사' 솔루션은
- WM 강화 닻올린 다올증권, 체질개선 '드라이브'
- 보험사 롱숏펀드 바람…헤지펀드 하우스 소외되나
- [데이터로 본 은행 판도변화]강도 높아진 잠재 리스크…건전성 관리에서 승부
- [금융권 혁신성장 포커스]신한금융, 벤처 육성 '투트랙' 고석헌·김명희 부사장
- [금융권 혁신성장 포커스]신한금융, 국내외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주력
- [금융지주 글로벌 IR 리뷰]하반기 진검승부 IMF·WB 연차총회…글로벌 광폭행보
- 카카오뱅크, 마이데이터 인허가 제동 여파는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행장 취임까지 '한달 더'…'임종룡표 승계' 속도보다 방향
- [격전지 건강보험]삼성화재·메리츠·현대해상 3파전 초박빙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격전지 건강보험]삼성화재·메리츠·현대해상 3파전 초박빙
- [격전지 건강보험]삼성생명은 왜 건강보험 3위목표 강조했을까
- 매각설 휘말린 악사손보, 매각가 가치평가 얼마
- [격전지 건강보험]메리츠의 시작…손보사 경쟁이 판 키웠다
- [컨콜 Q&A 리뷰]'IFRS17 맞춤식' 삼성생명, CSM 중심 새 단장
- [격전지 건강보험]삼성생명이 쏘아 올린 작은 공
- [Policy Radar]금감원, CSM 상각률도 지적…생보도 영향 있을듯
- [컨콜 Q&A 리뷰]김용범 부회장이 말한 보험사 판별 3가지 요건
- 금감원, 손보사 겨냥 '실손보험 평가 다시하라' 주문
- 메트라이프, 배당금 9배 증가…고배당 기조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