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와 거래끊긴 신영자 개인회사 '고사 위기' [롯데 왕자의 난]시네마통상·시네마푸드 매출 제로, 일감 규제 대응 역풍
고설봉 기자공개 2015-08-18 06:31:00
이 기사는 2015년 08월 17일 08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영자 롯데복지재단 이사장이 운영하던 회사들이 잇달아 고사 위기에 직면했다. 2013년 일감몰아주기 규제로 롯데시네마와 거래 관계가 해지된 후 새로운 매출처를 찾지 못했다.신 이사장은 2006년 롯데쇼핑 등기이사에서 빠진 후 소규모 유통사업을 벌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장혜선, 장선윤, 장정안 등의 자녀와 함께 시네마통상과 시네마푸드를 운영해왔다.
시네마통상과 시네마푸드는 롯데그룹의 지원으로 외형을 확장했다. 두 회사는 롯데시네마 내 매점 운영 독점권을 쥐고 급성장했다. 신 이사장과 세 딸들은 시네마통상과 시네마푸드 지분 47.17%와 55.12%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
시네마통상은 설립 이후 꾸준한 실적을 냈다. 연간 매출액이 100억 원을 넘었다. 2010년 매출액 165억 원, 영업이익 44억 원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과 2012년에는 연 매출액이 130억 원에 달했다. 그러다가 2013년을 기점으로 매출액이 급감했다. 2014년의 경우 매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적자 규모가 불어나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네마푸드도 시네마통상과 비슷한 궤적을 그렸다. 2011년 설립 첫 해 회사는 매출액 58억 원, 영업이익 15억 원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121억 원, 33억 원으로 급격히 불어났다. 그러나 이듬해 매출액이 27억 원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수익이 끊겼다.
|
시네마통상과 시네마푸드의 매출이 끊긴 이유는 대기업 일감몰아주기 규제로 롯데시네마 매장 운영을 그룹 직영으로 돌렸기 때문이다.
롯데쇼핑 경영에서 완전히 물러난 신 이사장이 유통 거래마저 단절되면서 실망감이 상당히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는 롯데그룹 특수관계인으로 분류되는 신 이사장이 지분을 소유해 롯데그룹 계열사로 분류 되지만, 개인회사나 다름없다. 롯데시네마와 계약이 끊길 당시 최종의사 결정권자는 신동빈 회장이었다. 당시 신 이사장의 뚤 째 딸 장선윤 씨는 호텔롯데 마케팅 부문장에서 물러나 자문직으로 이름만 걸어둔 휴직상태였다.
롯데그룹 사정에 밝은 관계자는 "당시 신동빈 회장의 지시로 롯데시네마 매점을 직영으로 전환했다"며 "롯데가 막내딸 신유미 씨가 운영하던 유원실업과 그룹 거래도 이 즈음 중단됐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70억 규모 AI 기반 해킹 방어 기술 사업 수주
- '카이아 살리기' 카카오, VC에 보유 코인 양도
- 넵튠 파는 카카오게임즈, '비욘드 게임' 마침표
- [KT 리빌딩]'신생' 넷코어·PM, 최우선 과제 '서비스 안정화'
- 삼성전자 미국법인, '맹활약' 사내 로비스트 키맨 주목
- [Policy Radar]화랑협회, 문체부 배포 '표준서식' 놓고 갑론을박
- 삼성D, 8.6세대 IT OLED '1차 투자' 마무리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빗썸, 대기업집단 선정…'이정훈 총수' 지배구조 확립
- 엔씨소프트, '클러스터' 전략으로 족쇄 푸나
- 삼성전자, 밸류업 지수 빠지나 '공시 자료 미제출'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
- [감액배당 리포트]'통합 진에어' 앞두고 자본금 회수 나선 대한항공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현대차, 주주환원 의지 재확인…속도는 '조절'
- 현대차, 미국 관세리스크 대응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