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라운용, 시장 한파에도 실적개선…자문수수료 급증 과거 자문수익 전년도 반영, 순익 전년비 160% 늘어
윤종학 기자공개 2023-05-31 08:19:17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6일 16시05분 theWM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페트라자산운용이 지난해 시장 한파에도 불구하고 실적개선에 성공했다. 일임과 펀드 비즈니스가 부진했지만 자문수수료가 급증하며 전체 실적지표를 끌어올렸다.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3월 결산법인 페트라자산운용의 최근 1년간 순이익은 20억2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7억8200만원)보다 159% 급증한 수치다.
실적지표 대부분이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영업수익은 74억5400만원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132% 늘었다. 영업이익은 더 드라마틱한 수치를 보였다. 2021년 413억원에서 3167억원으로 666% 증가했다. 모든 실적지표가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실적이 가파르게 개선된 데는 2021년 역대급 실적부진을 겪었던 점이 기저효과로 작용한 부분도 있다. 직전년도 페트라자산운용은 2016년 운용사 전환 이후 가장 적은 영업수익을 거두는 등 실적 악화를 겪었다.
지난해 호실적은 자문 비즈니스가 이끌었다. 페트라자산운용은 투자자문, 투자일임, 펀드 비즈니스에 모두 진출해있는 하우스다. 특히 자문사 시절 쌓아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임, 펀드로 확장한 만큼 여전히 자문 비즈니스의 비중이 크다.
지난해 수수료수익 74억2300만원 중 95.8%(71억1500만원)가 자문수수료에서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자문계약상 일회성 수익이 대거 발생했기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자문수수료는 지난해 발생한 수익은 아니다"라며 "자문계약상 과거 수익분이 2022년분에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기관투자자와 거래 비중이 높은 페트라자산운용의 특징이 실적에서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해외 기관투자자들과 자문계약은 고객별로 유동적인 형태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페트라자산운용은 해외 네트워크에 강점을 보유한 하우스다. 전체 운용규모 80% 정도가 미국과 유럽 소재 기관투자자와 패밀리오피스의 장기성 투자자금으로 구성돼있다. 2013년 국내 운용업계 최초로 미국대학기금을 직접 수익자로 유치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이후 해외 자금유치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올해 들어 네트워크망을 연결하고 있다.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정부 산하 투자위원회(Abu Dhabi Investment Council, ADIC)가 만난 국내 운용사 중에 페트라자산운용이 포함되기도 했다.
지난해 자문수수료가 급증한 반면 일임과 펀드 비즈니스에서 벌어들인 돈은 절반 이상 감소했다. 일임수수료(1억3100만원)와 펀드운용보수(1억7600만원)를 합쳐 3억원을 간신히 넘겼다. 특히 펀드 비즈니스는 수탁과 감소까지 더해져 부담감이 커지고 있다. 페트라자산운용은 2016년 첫 펀드를 출시한 후 1년만에 수탁고 500억원을 달성했지만 이후 수탁고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3월말 기준 펀드 수탁고는 424억원으로 지난해 3월말 보다 1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자문계약고는 2600억원에서 3300억원으로 27% 증가했으며, 일임계약고도 920억원에서 1010억원으로 10%가량 불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 [비상장사 재무분석]본아이에프, 외형 키우며 줄어든 현금곳간
- [퍼포먼스&스톡]아모레퍼시픽, 호실적에도 조정…글로벌 성장 '유효'
- [지앤푸드는 지금]오너가 지배력 확고, 배당성향 확대 지속될까
- [IR Briefing]'실적 고공행진' 에이피알, 연간 목표 초과달성 자신감
- [지앤푸드는 지금]계열 리스크 일단락…비상장사 관리 숙제 여전
- [지앤푸드는 지금]홍경호 대표체제 복귀, 수익성 관리 방점
- [지앤푸드는 지금]'오븐구이'로 성장한 20년, 신사업 전환점 맞나
- 롯데, AI·글로벌 공략 박차…“신사업 중심 포트폴리오”
- [Policy Radar]K-OTT 글로벌화 선행조건, 토종 플랫폼 경쟁력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