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리츠 리포트]삼성FN리츠, 배당 가이던스 못 지킨 배경은8기 주당배당금 78원 약속→66원 결정…유상증자 후 주식 수 증가 영향
정지원 기자공개 2025-01-22 07:58:08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0일 07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FN리츠가 지난해 10월 말 결산 기준 주당 66원을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78원 배당을 약속했지만 전망치보다 주당 12원이 감소했다. 유상증자 전 주식 수로 주당배당금을 계산하면서 오류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다음 결산기부터는 예상 배당금 수준을 지키겠다는 방침이다.2023년 상장한 삼성FN리츠는 지난해 9월 중 처음으로 포트폴리오 자산을 늘렸다. 삼성화재 판교사옥을 세 번째 자산으로 담았다. 신규 자산 편입 효과는 다음 결산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총 배당금이 50억원 수준이었지만 앞으로는 60억원 안팎으로 증가하게 된다.
◇연 4회 분기 배당…공모가 기준 연 평균 배당률 5%대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FN리츠가 최근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8기(24년8월~10월) 주당배당금을 66원으로 확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약 60억원이다. 삼성FN리츠는 연 4회 배당하는 분 배당 상품이다. 매년 1월 말, 4월 말, 7월 말, 10월 말 기준으로 결산을 진행한다.
공모가 5000원을 기준으로 한 연 환산 배당률은 5.28%다. 삼성FN리츠의 주가는 4500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주가 4500원을 기준으로 본다면 시가 배당률은 5.87% 수준이다.
최근 1년간 주당 274원을 배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5기부터 8기까지의 주당배당금을 합산한 수치다. 5기(23년11월~24년1월)에 72원, 6기(24년2월~4월)에 71원, 7기(24년5월~7월)에 65원을 배당했다. 8기 주당배당금 66원은 한 달 내로 지급될 예정이다.
1년간 주당배당금을 합산하면 배당률이 소폭 올라간다. 공모가 5000원 기준 연 수익률 5.48% 정도다. 주가 4500원 기준 시가 배당률도 6.1%로 높아진다.
삼성FN리츠는 삼성SRA자산운용이 자산관리회사(AMC)를 맡아 투자운용 중이다. 삼성파이낸셜네트웍스가 선보인 첫 번째 상장리츠다. 2022년 7월 회사를 설립하고 같은 해 10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이듬해인 2023년 4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주요 업무지구 소재 오피스가 주 투자처이다. 강남업무지구(GBD) 대치타워와, 시내업무지구(CBD) 에스원빌딩을 기초자산으로 상장했다. 지난해에는 상장 후 처음으로 신규 자산을 편입했다. 분당업무지구(BBD) 판교사옥을 담았다.

◇지난해 9월 유상증자 마무리…상장 주식 수 1375만주 증가
삼성FN리츠는 당초 8기에 주당 78원을 지급한다고 약속했다. 지난해 하반기 삼성증권이 주관하는 K-REITs Corporate Day에 참석해 2027년까지의 예상 배당금 가이던스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주당배당금이 예상했던 수준보다 주당 12원 떨어졌다.
삼성FN리츠 관계자는 "8기 주당배당금을 계산하면서 유상증자 전 주식 수를 반영한 탓에 오류가 생겼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9기부터는 증가한 주식 수를 고려해 예상 배당금을 산정한 만큼 가이던스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FN리츠 측의 설명처럼 총 배당금이 예상보다 줄어들지는 않았다. 배당 가이던스상 8기 총 배당금은 60억원이었다. 단지 늘어난 주식 수를 고려하지 않은 탓에 주당배당금을 더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유상증자는 지난해 9월 중 있었다. 상장 주식 수가 기존 7730만주에서 1375만주 증가했다. 현재 상장 주식 수는 총 9105만주다. 삼성FN리츠는 유상증자를 통해 642억원을 조달하고 새 자산인 판교사옥을 편입했다.
판교사옥 편입 효과는 오는 9기(24년11월~25년1월)부터 본격 반영될 예정이다. 삼성FN리츠는 9기 배당금 총액 66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66억원을 상장 주식 수인 9105주로 나누면 약 72원이다. 삼성FN리츠는 가이던스상 73원을 제시한 바 있다.
단 70원대 배당은 9기에만 예정돼 있다. 9기 이후 분기 기준 총 배당금이 60억원 안팎으로 떨어지게 되는 탓이다. 이에 따라 평균 66원 안팎의 주당배당금을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흥국에프엔비는 지금]'부부경영' 지배구조 굳건, 2세 승계 시동거나
- '영원한 1등' 꿈꾼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별세
- HK이노엔, 라퀄리아 최대주주 확보…케이캡 '밸류체인'
- 한올바이오, 3상 유효성에도 상업성 탓 분위기 '냉담'
- 알피바이오, 순손실에도 재고관리 덕 '현금흐름' 확대
- 금호타이어, CEO 직속 '품질본부' 신설…해외 공급망도 재편
- '재무통' 김원희 사장, 포스코와이드 새 대표이사 선임
- '25년 지분동맹 해소' 포스코·일본제철, 새로운 제휴 모색하나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통상 리스크 적극 대응 나선 포스코그룹
- 차동석 LG화학 CFO "S&P 등급하향, 해외조달 문제 없어"
정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흥국리츠운용, CIO 선임…출범 준비 '완료'
- [건설리포트]포스코이앤씨, 수익성 하락 돌파구는
- [건설부동산 테크기업 톺아보기]이호승 리얼바이 대표 "새 투자플랫폼, 리츠 대중화 목표"
- NH-오퍼스 PE, HJ중공업 주가 급등에 투자금 일부 회수
- 2조대 홈플러스 담은 운용사 면면은
- [thebell note]'폭탄 돌리기'의 결말
- [건설부동산 테크기업 톺아보기]파이퍼블릭 '리얼바이', 데이터솔루션 기업 도약
- [상장 리츠 리포트]이리츠코크렙, 유증 가능성 일축…배당 회복 약속
- LX 서울본부, '현물출자' 리츠로 재건축 추진
- 서부티엔디, 인천스퀘어원 홈플러스 책임임차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