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07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매력적이거나 새로운 딜을 찾기가 어려워요. PE는 늘고 드라이파우더 규모도 커지는데 국내 경제 규모는 작아 기업들 수가 운용사들의 투자 수요에 대응할 만큼 많지 않은 탓이죠. 대형 하우스 위주로 출자금이 쏠리는 빈부격차 심화로 눈에 띄는 신생 하우스가 나타나기도 힘드네요."국내 한 LP는 올해는 출자 기조를 작년보다 보수적으로 가져가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출자 제안은 많은데 선뜻 손이 가는 딜이 없다는 하소연이다. 폐기물이나 배터리처럼 최고점을 찍었거나 꺾인 섹터 내 M&A 시도가 지속되는 데 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알짜 기업들은 기존 PE들이 다 낚아챈 탓에 단물 빠진 매물에 손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반전과 예외는 존재한다. 리파인 바이아웃 투자에 성공한 LS증권 PE가 일례다. 리파인은 인수는 LS증권이 이베스트투자증권 이름을 버리고 LS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뒤 첫 딜이자 PE 조직 출범 후 최초 도전이다. 규모만 2000억원이다.
신생 PE의 대범한 도전에 일각에서는 대형 하우스들에 인수 기회가 넘어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펀딩 불확실성 우려도 나왔다. 신생 하우스들을 둘러싸고 여러 불미스러운 이슈가 발생하면서 트랙레코드가 없으면 출자를 꺼리는 LP들이 많아진 점은 부정적 전망에 힘을 보탰다.
LS증권은 매도자 측 신뢰를 얻으며 딜소싱 경쟁을 뚫고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리파인의 탄탄한 재무구조와 성장성을 인정받아 펀딩도 마쳤다. 스톤브릿지캐피탈을 공동 투자자로 확보해 자금력을 끌어올린 점, 인수 시 교환사채(EB)를 활용한 전략도 통했다. M&A 사례가 드문 부동산 권리 조사기업 인수로 새 투자 영역도 개척해냈다.
"환경이 사람을 만드는 게 아니다. 환경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 드러낼 뿐이다." 그리스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남긴 교훈이다. 환경은 삶을 좌우하는 요인이 아니라 스스로를 드러내는 계기이길 뿐, 어떤 태도를 보이는지가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올해도 PEF 시장은 혹한기를 벗어나기 어렵다. 투자 가치가 높은 기업은 줄고 달려드는 GP들은 늘었다. 대형 하우스 위주로 출자하려는 LP들의 안정적 성향에 신생과 소형 하우스의 펀딩 난이도는 높아졌다. 고금리와 경기침체, 고환율까지 겹쳤다. 악조건이지만 LS증권과 같은 신예가 등장한 점은 에픽테토스의 통찰력을 보여준다. 생존기로에 선 PE들이 많다. 이젠 핑계가 아닌 태도로 실력을 입증할 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desk]공매도 재개의 역설
- [thebell note]특례상장의 본질은 미래일까 현재일까
-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
- [thebell note]1조2000억에 흔들리지 않는 믿음
- 삼성SDI와 한화에어로가 비판을 피하려면
- 더블유게임즈가 마주한 더 무서운 '손실'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thebell interview]"드라이브포스,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환 선도 목표"
- [thebell interview]나상수 세림B&G 대표 "신설 로봇분야, 세림 미래 책임질 핵심사업 키울 것"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thebell interview]"남심(心)은 없다"…창업주 눈치 안보는 풀무원 이사회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JB우리·코너스톤·엠브이지, 헤이딜러 구주 200억 투자 추진
- 반도체 상장사 펨트론, 200억 CB 발행 추진
- SBVA, 세미파이브 300억 구주 판다
- 효성화학, '2000억 몸값' 옵티컬필름 사업부 매각 본격화
- '신생 PE' 부코컴퍼니, 상장사 에너토크 경영권 인수 추진
- MG새마을금고, MG캐피탈 2000억 유증 추진
- 진이어스 FI, 구주 300억 매물로 내놨다
- '1705억 베팅' 아스트라·유암코-IBKS, 케이씨 투자 하이라이트는
- '뚝심한우 염가 매각' 하나증권 PE, 남은 포트폴리오에 쏠리는 눈
- '전세버스 1위' 원더모빌리티, 최대 300억 투자유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