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 Story]유암코, NPL 성장세 '세일즈' 통했다3조 이상 수요 확인…채권시장 '유동성' 덕봤다
이정완 기자공개 2025-02-06 08:43:38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18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연합자산관리(유암코)가 올해 첫 회사채 발행에서 만족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2500억원 모집을 계획했는데 3조원 넘는 주문이 들어왔다. NPL(부실채권) 시장 성장세라는 세일즈 포인트에 투자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분석이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는 이날 2500억원 규모 공모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2년물 400억원, 3년물 1600억원, 5년물 500억원으로 나눠 모집주문을 받았다.
연합자산관리는 발행에 앞서 대규모 대표주관사단을 꾸렸다. 한국투자증권, SK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부국증권이 대표주관 업무를 맡았다. 지난해 3~4개 증권사가 대표주관사를 맡던 것을 감안하면 평소보다 주관사 수를 대폭 늘렸다.
수요예측 끝에 2년물에 7100억원, 3년물에 1조8000억원, 5년물에 5500억원의 주문이 확인됐다. 총 3조60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연합자산관리는 공모채 희망 금리밴드를 개별 민간평가금리(민평금리)의 '-30~+30bp'로 제시했다. 3개 만기 모두 민평금리보다 낮은 수준에서 모집액을 채웠다.
금리 조건이 양호한 만큼 증액 발행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연합자산관리는 최대 5000억원까지 증액을 목표로 했기에 한도까지 발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자산관리는 지난해 세 차례 발행에서 모두 조 단위 주문을 확보했는데 이번에도 흥행 기조를 이어갔다. 작년 10월 수요예측에서도 1조4600억원의 수요가 몰린 바 있다.
IB업계는 채권 투자자가 NPL 시장 성장세에 베팅한 것으로 평가한다. 국내 NPL 투자 점유율 1위인 연합자산관리는 지난해 3분기 말 5조8000억원의 투자자산 규모를 기록했다. 2023년 말 4조6000억원 대비 25% 가량 증가했다. 은행권 부실채권 매각 규모가 늘면서 운용자산이 늘었다. 'AA0, 안정적' 등급과 전망을 보유하고 있어 크레딧 측면에서도 안정성이 돋보인다.
수요예측을 실시한 5일 채권시장 분위기가 우호적이었던 것도 수요 확보에 득이 됐다. 이날 수요예측을 진행한 모든 발행사가 민평금리보다 낮은 수준에서 모집액을 채웠다.
IB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채권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자가 NPL 시장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고 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티몬 공개입찰 참여 '제로', 오아시스 단독 협상
- [삼성SDI 2조 증자]중점 심사 돌입 금감원, '유증 당위성' 판단 방향은
- [삼성SDI 2조 증자]창사 이래 첫 유증, 우리사주조합 참여에 달린 흥행
- [DN솔루션즈 IPO]공모 세일즈 포인트, 피어그룹 '수익성' 비교
- 차환 발행 유안타증권…증권채 언더금리 이어갈까
- [DN솔루션즈 IPO]구주매출 '57%' 압박…물량 축소-보호예수 최대로
- [리브스메드 IPO]예심청구 전 이사회 손질 완료, 상장 준비 '이상무'
- '달바글로벌 투자' 오아시스EP, 첫 풀 엑시트 성과 나오나
- 프리드라이프 품는 웅진그룹, 선수금 활용 '내규' 따를까
- 엠플러스자산운용 본입찰 임박, 웨일인베·키스톤PE 도전장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국책은행 찾는 글로벌 거래소, 한국물 '달라진 위상'
- [Korean Paper]20억달러 발행 노리는 LG엔솔, 금리 산정 '안갯속'
- [발행사분석]국내 자본 확충 활발 한화생명, 외화 조달은 '잠잠'
- [대기업 현지법인 IPO]뒤따르는 후보 기업…수익성부터 챙겨야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카드값 3800억 미뤘는데…우회조달 수단 막히나
- [대기업 현지법인 IPO]물적분할 규제 부담? 모회사 현금 유입 이점도
- [IPO 모니터]'거래소 칼날심사'…레메디도 못 피했다
- [대기업 현지법인 IPO]현대차·LG전자, 국내 증시 부진에 해외로 눈돌렸다
- 등급전망 개선 LG전자, 올해 인도법인 IPO에 전념하나
- [thebell note]삼성·현대차, 크레딧 시장 등장을 고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