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도약의 조건]배당 확대, 민심 달래기용?…지속 가능성은④수익성 저하 불구 배당성향 '최대'…2028년 40%대 '목표'
윤진현 기자공개 2025-03-11 07:50:01
[편집자주]
"2030년까지 업계 최고의 고객 가치를 실현하는 증권사로 도약하겠다." 현대차증권의 중장기 경영 계획 '비전2030'이다. 변화의 골든타임을 정해 쇄신에 도전한다. 그간 주력해 온 현대차그룹과의 시너지도 물론 중요하지만, 홀로서기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더벨이 변화의 기로에 선 현대차증권의 현 상황과 청사진을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7일 10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익성 저하에 부딪힌 현대차증권이 배당액도 동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배당 성향은 창사 이래 최고치에 해당하는 39%로 기록됐다. 현대차증권이 지난해 연말부터 시장에서 저평가받는 가운데 주주환원에 박차를 가한 모양새다앞서 유상증자 과정에서 소액 주주들은 현대차증권에 50% 이상의 배당 성향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증권으로선 배당 확대가 선택이 아닌 필수였던 셈이다. 오는 2028년 배당 성향 목표치를 40%로 제시하기도 했는데, 향후 지속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창립 이래 '39%' 최초…현대차그룹 50억 수령 전망
현대차증권이 2024년 결산 배당액을 보통주 1주당 350원, 우선주 1주당 418원으로 결의했다. 다만, 유상증자 증자비율을 고려하면 보통주 1주당 180원으로 줄어든다. 현대차증권은 이달 27일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배당금을 확정할 계획이다.
총 배당액은 140억4000만원 수준이다. 연결 기준 순익이 385억원대로 줄어들면서 배당액 역시 최근 5년래 최저 수준으로 분석됐다. 그럼에도 배당 성향은 39%로, 현대차증권의 창립 이래 최고치로 확인됐다.

그간 현대차증권의 배당 성향은 24~30%대로 유지됐다. 역대 최대 순익(1177억원)을 달성한 2021년에도 배당 총액이 283억1400만원대로, 배당 성향은 23.4%에 불과했다. 올해는 수익성 저하에도 불구하고 배당 성향을 크게 높였다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요 주주인 현대차그룹도 배당 수익을 거둘 전망이다. 현대차증권의 최대 주주인 현대자동차(지분율 25.43%)는 28억원을 수령한다. 이 밖에도 현대모비스(15.71%)는 17억원, 기아(4.54%)는 5억원의 배당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상증자 전 기준 지분율과 주식 수로 추산한 수치다.

◇소액주주 50% 요구…지속 가능한 배당 확대 '강조'
현대차증권이 지난해 연말 급작스러운 대규모 유상증자로 인해 주주들의 반발을 샀던 만큼 주주환원에 힘을 실어야 했다. 심지어 한 소액 주주는 유상증자 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다만 법원이 현대차증권의 손을 들어주면서 이 논란이 사그라들었다.
그럼에도 해당 소액 주주가 현대차증권에 주가 하락 및 유증으로 인한 주당 가치 희석에 대한 보상 방안으로 배당 성향 50% 이상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배당 성향 50%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선 보통주 1주당 500원의 배당액을 제시해야 한다. 이 경우 배당총액이 200억원대로 불어난다.
IB 업계 관계자는 "앞서 소송 과정에서 주주 제안 중 하나로 배당액을 일정 수준 이상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밸류업과 주주환원에 힘을 싣겠다 밝힌 현대차증권이 시장의 평가를 두루 고려해 배당 성향을 높인 것이란 평이 나온다"고 말했다.
현대차증권은 앞으로도 주주환원 정책을 이어가겠단 포부를 밝혔다. 중장기 경영계획인 '비전 2030'을 통해 전한 목표치는 배당 성향 40%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다. 2027년까진 30~35%대의 배당 성향을 유지하다, 2028년부턴 눈높이를 더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대형 증권사의 배당 성향에 준하는 수준이다. NH투자증권은 별도 기준 52%를 웃도는 배당 성향을 예고했으며, 삼성증권이 36% 유지 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물론 평균 20%대의 배당 성향을 보이는 한국투자증권처럼 예외도 있다. 현대차증권의 주주환원 의지가 의미가 있다고도 여겨지는 이유다.
향후 현대차증권이 실적 성장세를 꾀해 배당 성향을 업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여겨진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사업 다각화를 꾀해 주주 환원에 힘을 실을 계획"이라며 "중장기 경영 계획을 현실화하기 위한 과제도 이미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세미파이브 IPO]관세 리스크 뚫고 해외 NDR…글로벌 기관 스킨십 '방점'
- [IB 풍향계]'토종 IB' 명맥 잇는다…KB증권 외평채 주관 '최초'
- [Korean Paper]'기다림의 미학' 신한은행, 금리 저점 잡았다
- [무신사 IPO]상장 절차별 '리픽싱' 요건 존재…네가지 시나리오 '관건'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상장 관건 밴드내 수요 집결…'하방압력' 이겨낼까
- [IB 풍향계]대형스팩 허들 넘은 삼성증권, IPO 확장 '드라이브'
- [DN솔루션즈 IPO]고심끝 상장 철회…비우호적 시장 환경에 '결단'
- [Korean Paper]외평채 주관사단 5곳 확정…'토종IB' KB증권 기용
- [Korean Paper]막오른 외평채 PT 경쟁…국내외 IB 초청장 수령
- [무신사 IPO]FI 요구 밸류 4조부터…미룰수록 눈높이 '고공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