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VA, 세미파이브 300억 구주 판다 '밸류 7500억 책정' 엑시트 추진, 직접 투자자 접촉
김예린 기자공개 2025-03-27 08:05:38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6일 10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세미파이브 구주가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SBVA(전 소프트뱅크벤처스)가 보유한 지분 가운데 일부로, 복수 투자자들이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BVA는 기존 보유하고 있는 세미파이브 구주 가운데 일부를 매각하기 위해 복수 재무적투자자(FI), 전략적투자자(SI)들과 접촉하고 있다. 별도 자문사 없이 직접 움직이고 있으며, 매각 물량은 약 3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SBVA는 2022년 최종 완료된 세미파이브 시리즈B 라운드에 참여했다. 당시 미래에셋벤처투자와 한국투자파트너스, 본엔젤스, LB인베스트먼트,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자회사인 파빌리온캐피탈 등도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해당 구주 매매에 적용되는 세미파이브 기업가치는 7500억원 수준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몸값이 높아 부담스럽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본시장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데다 상장 직후 주가가 급락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수익을 내는 기업들 위주로 옥석을 가리는 투자업계 기조가 강해진 탓이다.
세미파이브는 수년간 당기순손실을 이어가고 있다. 개별 기준 당기순손실은 2021년 236억원에서 2022년 426억원, 2023년 427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다만 매출액은 2021년 96억원에서 2022년 406억원, 2023년 459억원으로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지난해는 매출액 100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 규모를 키우면서 코스피 상장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IB 업계에서는 세미파이브가 올해 2분기 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세미파이브의 현재 기업가치는 1조원이 넘었다고 평가받는다. 구주의 경우 지난해 이미 7000억원대에 거래가 성사된 바 있어, 현 시점에서 몸값을 더 낮추긴 쉽지 않은 모양새다. IPO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간 투자금 회수를 통해 '잭팟' 기대감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인수를 검토하는 상황이다.
세미파이브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출신 조명현 대표가 2019년 설립한 반도체 디자인하우스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설계솔루션 파트너 중 한 곳으로 팹리스 고객과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연결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주요 경쟁력으로는 자체적인 시스템온칩(SoC) 설계 플랫폼을 보유했다는 점이 꼽힌다. 반도체 팹리스가 요구하는 고성능 반도체 칩 설계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이비즈-디에이밸류, 문화콘텐츠 출자사업 승기 비결은
- bnw인베, 'AI 클라우드' 람다 3000만달러 투자
- 100억 펀딩 나선 '브이원씨', 투자 하이라이트는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인수한다
- 브이원씨-메리츠증권, 3000억 중소기업 대출펀드 만든다
- 이브이씨씨, 최대 150억 투자유치 추진 '산은·GSA 등 러브콜'
- 다올PE, HMR 제조 '진한식품' 매각 추진
- '펀딩 순항' 에어인천 컨소, 수은·우본 등 복수 LP 유치
- 이차전지 상장사 윤성에프앤씨, 400억 CB 발행 성공
- 300억 펀딩 나선 앤유, 투자 하이라이트 '성장성·개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