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투자기업]'수익 구조 정상화' 뮤직카우, 1년 실적 성적표는옥션 수수료 매출 컴백에 미소, 적자는 지속 …올해 미국 진출 성과 기대감
이채원 기자공개 2025-04-14 08:26:15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16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뮤직카우의 매출 구조가 정상화됐다. 회사는 2022년 4월부터 2023년까지 금융당국의 제재로 인해 음악 저작권 조각투자업을 중단했다. '울며 겨자먹기'로 보유 자산인 저작권을 판매하면서 매출 성과를 내야했다. 회사는 지난해 음악수익증권 발행을 재개한 뒤 수수료 매출을 다시 벌어들이게 됐다.다만 적자가 지속되며 현금성자산은 크게 쪼그라들었다. 올해 미국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뮤직카우는 사업 확장을 위해 추가 투자 유치를 타진할 전망이다.
11일 벤처투자(VC)업계에 따르면 뮤직카우는 지난해 149억6001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23년 134억9307만원에서 15억원 가량 늘어난 수치다. 눈여겨볼 대목은 옥션 수수료 매출이 생겼다는 점이다. 옥션은 뮤직카우가 플랫폼 내에서 음악수익증권을 공모하는 장을 말한다. 지난해 뮤직카우는 옥션수익으로 22억1266만원을 벌어들였다. 2023년 옥션수익은 전무했다.
회사는 지난 2022년 금융당국으로부터 증권성 판단을 받으며 그해 4월부터 사업을 중단했다. 2023년까지 옥션을 진행하지 않고 제도권 내에서 음악 수익증권을 발행하기 위한 사업모델을 구축했다.
옥션 수수료 수익을 벌어들이지 못하게 되며 2023년 회사는 보유한 저작권을 팔아 매출을 냈다. 2023년 저작권 판매 수익은 43억8346만원이다. 지난해 옥션 재개로 인한 수수료 매출이 나오자 저작권 판매를 대폭 줄였다. 지난해 회사가 저작권을 판매해 벌어들인 수익은 31만원이다.
보유한 저작권으로 벌어들인 저작권료 수익은 늘었다. 2023년 65억2873만원에서 지난해 90억3477만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뮤직카우의 적자 규모는 2023년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뮤직카우는 지난해 238억1730만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2023년(238억6765만원)과 약 5000만원 가량 차이나는 수준이다. 당기순손실 규모는 커졌다. 지난해 270억8903만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23년 기록한 당기순손실은 265억8724만원이었다.
적자가 지속되며 회사의 현금성 자산은 크게 쪼그라들었다. 2023년 359억6396만원에서 2024년 70억6572만원이 됐다. 뮤직카우가 투자 유치를 받은 것은 2023년이 마지막이다. 2023년 스틱인베스트먼트가 뮤직카우에 60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회사가 인정받은 밸류에이션은 7000억원 수준이다.

미국진출 성과는 올해 본격적으로 나올 전망이다. 회사는 상반기 내 미국 플랫폼 베타 버전 론칭을 목표로 본격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현지 공략을 위해 힙합대부 제이지가 소유한 글로벌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락네이션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양질의 IP(지식재산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회사는 올해 옥션 수 확대와 미국진출 성과를 통해 매출 규모를 2배 가까이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뮤직카우 관계자는 "올해는 작년 대비 국내 옥션 수와 이에 따른 매출 규모를 2배 가까이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미국 법인의 영업활동도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기업가치 1400억' 포엔, 올해 매출 270억 목표
- '김동환호' UTC인베, 첫 펀딩 시동…다음 타깃은
- '오일머니'도 주목한 달바글로벌…밴드 상단 확정적
- [VC 투자기업]위펀, M&A로 가파른 성장세 이었다
- [thebell interview]"솔라스타넥서스, AI 투자 집중…500억 펀드 결성"
- [LP Radar]새마을금고, 3년만 벤처출자 시동…펀딩난에 호재
- KCGI 세무조사 주시하는 OK금융그룹, 대응 카드 '만지작'
- IBK운용, 공들인 첫 헤지펀드 1년만에 청산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성장주+미국채' 조합…신한운용 하이브리드 전략
이채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어차피' GP는 BNK·경남벤처…경남펀드 이변 없었다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스포츠전략, 유관펀드 경험 AC 2곳 승기 잡을까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공공기술사업화, 기술지주 각축장…티인베 참전 이목
- [모태 2025 2차 정시출자]미래환경산업 사업화, 기후투자 초보 하우스 기회줄까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 [thebell note]VC가 실리콘밸리로 향할 때
- [VC 투자기업]아모지, 암모니아 수소변환 개발 총력…C레벨 충원
- '부산 연고' NVC파트너스, 부산혁신펀드 140억 결성
- [기술특례 상장 그후]‘목표치 훌쩍’ 씨어스테크놀로지, 아웃퍼폼에 주가 활짝
- [기술특례 상장 그후]실적 가이던스 지킨 에이치이엠파마, 성장 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