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인도사업추진TF 신설, 김세은 상무 수장 맡아…주택·건축 시장 먹거리 발굴 전망
신상윤 기자공개 2025-05-21 07:43:33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9일 15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인도 시장 진출 채비를 본격화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인도는 최근 가파른 경제 성장과 맞물려 건설업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건설업은 인도 GDP의 10% 가까운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고용 기여도가 높아 정부 차원의 지원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사업추진TF'를 조직한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현지 사업화 및 진출 전략 등을 구상 중이다.19일 삼성물산 등에 따르면 건설부문은 최근 '인도사업추진TF'를 조직했다. TF장은 신사업전략팀장을 맡았던 김세은 상무가 맡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신흥 시장으로 꼽히는 인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사업들을 발굴 및 기획하는 역할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인도 뭄바이에 초고층 주상복합빌딩 윌리(Worli)를 비롯해 복합문화시설 다이섹(Daicec) 컨벤션센터 등을 시공했다. 아울러 사회공헌 활동으로 인도 마하라수트라주 챠르가온마을, 난드가온마을에 주택 개보수 및 화장실 신축 등 '삼성마을' 공급 사업도 진행했다.
지난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인도 뭄바이광역개발청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해 협업하기로 했다. 인도는 인구 증가와 도시화 등의 이유로 기존 낙후된 지역을 스마트시티로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인도 정부가 주도하는 주택공급정책을 통해 구자라트 '기프트시티'나 돌레라 '반도체산업허브(SIR)', 수라트 '드림시티' 등 대규모 스마트 도시 건설도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2023년 기준 인도에서 건설업은 GDP의 9%를 차지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으로 평가했다. 특히 2024~2028년 연평균 9.8% 성장률이 예상되는 가운데 소득 증가와 주요 대도시 내 심각한 주택 부족 문제, 인프라 개발에 대한 재정 지출 등이 성장을 견인하는 요소라고 봤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인도 시장을 눈독 들이는 이유로 평가된다. 아울러 인도에선 원전이나 데이터센터 등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국내 건설업 진출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인도를 방문해 우타르프라데주 그레이터노이다개발청과 코리아타운 신도시 건설 및 주택건설사업 참여 제안 등을 협의하기도 했다.
삼성물산 관계사인 삼성E&A도 인도 뭄바이 등 2개 도시에 글로벌 오피스를 두고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IT 및 엔지니어링 역량을 갖춘 인재들이 많은 인도는 북미나 유럽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낮아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앞다퉈 인도에 진출하는 것과도 궤를 같이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애경케미칼, 신사업 확장·시장 확보 '총력'
- 실리콘투, 1분기 성적표 '상세 공개'…"IR 활동 강화"
- '이익 개선' 더핑크퐁컴퍼니, 상장 불씨 되살리나
- [캐시플로 모니터]'벌크업' 한세예스24,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전환
- [R&D회계 톺아보기]연구개발 투자 늘리는 롯데웰푸드, H&W 강화 '결실'
- hy,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행사서 와인 접근성 확대
- [i-point]대동,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 개발' 위한 MOU 체결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싸이닉솔루션 IPO]시스템반도체 디자인솔루션 자신, PER 30배 '강수'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오너 2세' 황규영 건화 대표, 상장 전 수익성 회복 과제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건화, IPO 재추진…도화엔지 색 지운다
- [건설리포트]SK에코플랜트, '용인 반도체' 날개 달았다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도화엔지, 미완에 그친 지배구조 안착 '안갯속'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곽준상 도화엔지 부회장, '신재생·EPC'로 새 지평 열까
- '반도체 소재' 더하는 SK에코플랜트, 효과는 내년으로
- [대광그룹은 지금]'오너 2세' 조영훈 회장, 대광건영으로 지배구조 재구축
- [대광그룹은 지금]풍부한 유동성, 사업 확장 위한 M&A 베팅 밑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