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다케다제약 사업부 인수 자금조달 구조는 자체 현금+은행 차입+자산담보 인수금융 세 개 루트 나눠 활용
서은내 기자공개 2020-06-17 08:30:39
이 기사는 2020년 06월 16일 16:4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셀트리온이 다케다제약 아시아태평양 사업부 인수를 위해 보유 현금에 더해 은행차입, 인수금융의 삼각 구조를 짤 전망이다. 이번 다케다 사업부 인수대금은 3324억원으로 회사 내부 유보 자금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은 아니다. 다만 2030 비전의 일환으로 내년까지 총 8조원 전방위 투자 계획을 밝힌 만큼 외부 차입을 병행하는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16일 투자금융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3300억원 규모의 다케타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프라이머리케어 사업 인수 자금을 3개 루트로 나눠 조달할 예정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셀트리온이 자체 현금에 은행 차입과 은행과의 인수금융을 섞는 방식으로 나눠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며 "영업양수 형태이므로 기존 보유 현금에 새로 양수하는 사업부의 자산을 담보로 일부를 론(loan)으로 조달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영업양수도나 자산양수도의 경우, 주식 대신 개별자산에 대한 담보를 설정하게 된다. 셀트리온 역시 인수금융 과정에서 인수 예정인 다케다 프라이머리케어 사업부 자산을 담보로 인수금융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은 싱가폴 법인 '셀트리온 AP(가칭)'을 세우고 셀트리온 AP를 주체로 영업양수도계약을 체결, 자산 인수 및 대금지급을 진행하기로 했다. 전체 인수 대금 3324억원은 현금으로 지급하며 그 중 2억6630만달러(약 3170억원)는 기본적인 자산 양수대금 형태로, 나머지 1200만달러(약 150억원)는 마일스톤의 개념으로 나눠 지급하기로 했다. 마일스톤은 영업양수에 필요한 기술이전 및 생산지 변경이 마무리된 시점에 지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의 지난 1분기 말 기준 현금및 현금성자산 보유액은 단기금융자산을 합쳐 6160억원 가량이다. 1분기 말 기준 셀트리온의 금융부채 중 비유동 부채 금액은 970억원, 유동 부채는 2334억원 가량이다. 유동 금융부채는 단기차입금이 1933억원, 유동성장기차입금이 383억원을 차지한다.
단기성 차입금을 제외하면 현재 가용 자금은 3800억원 가량이다. 매년 셀트리온이 확보해온 현금성자산의 규모를 감안할 때 이번 다케다 사업부 인수자금을 자체 보유 자금만으로 충당한다고 해도 크게 부담이 되는 수준은 아니다. 다만 셀트리온은 지난해 2030년까지 40조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2021년까지 총 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감안하면 자체 자금만으로 전부 충당하기는 버거운 수준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자체 보유 현금과 은행 일반 차입, 인수금융 활용 비중을 각각 3분의 1씩 나눌 것으로 관측된다. 셀트리온은 현재 유형자산을 담보로 신한은행에 583억원, 우리은행에 200억원, 한국산업은행에 1128억원을 차입 중이다. 추가 차입 금융기관 역시 이들을 대상으로 할 가능성이 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사회 모니터/HDC현대산업개발]'오너=이사회 의장' 공식, 미완의 독립성
- [이사회 모니터/SK건설]사내이사 '빈자리' 누가 채울까
- [이사회 모니터/대우건설]주인없는 시련, 사추위 '잔혹사'
- [이사회 모니터/영풍]자기식구 이사진? 무늬만 사외이사 우려
- 포스코건설, 'A+' 진입 후 첫 공모채…흥행몰이 예고
- 현대중공업, 주관사단 현대에너지솔루션 '확장판'
- 흥국화재, 사모 후순위채로 올 첫 조달 개시
- IT 인프라 솔루션 '브레인즈컴퍼니' 코스닥 상장 추진
- [진화하는 SK증권 WM비즈니스]자체제작 상품으로 승부한다...솔루션은 '운용사 인수'
- [진화하는 SK증권 WM비즈니스]WM 강화 ‘천명’…독립계 증권사 한계 넘는다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씨젠, 반년간 임원 13명 신규 영입…사업다각화 주목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잦은 C-레벨 교체,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일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M&A·분할·지분투자 자유자재…'확장형' 기업가들
- 서정진의 은퇴는 아직 멀었다
- 제넥신, 'GX-I7' 지역별 권리배분 전략 눈길
- 셀트리온, 렉키로나 약물경제성 높이기 고심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창업 2세, 신약개발 조력자로…가업승계도 주목
- [Company Watch]메드팩토, 매출 0원 지속…벡토서팁 L/O 관건
- ‘면역항암제' 메디맵바이오, 180억 시리즈A 펀딩 완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지분 크기=경영권 안정화' 공식 탈피한 리더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