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캐피탈, ESG채권 데뷔…중·저신용자 지원 용도 20일 400억 규모 사회적채권 상장, 나신평 인증평가 최고등급 획득
이지혜 기자공개 2022-09-22 07:54:01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0일 14:4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캐피탈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채권 시장에 데뷔했다. BNK금융그룹의 비은행계열사 가운데 첫 ESG채권 발행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적정금리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중·저신용자의 이자부담을 줄여준 점을 인정받아 나이스신용평가의 인증평가에서 최고등급을 받았다.20일 한국거래소 SRI채권 플랫폼에 따르면 BNK캐피탈의 사회적채권이 이날 상장됐다. 19일 발행된 것으로 400억원짜리다. 만기는 5년 단일물이며 표면이율은 5.315%다. 다올투자증권이 대표주관업무를 맡았다.

BNK캐피탈이 사회적채권을 비롯해 ESG채권을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NK캐피탈 관계자는 "BNK금융그룹의 ESG경영 의지에 발맞춰 사회적채권을 발행했다"며 "그룹 비은행 계열사 가운데 처음"이라고 말했다. BNK금융그룹의 비은행 계열사는 캐피탈 외에 투자증권, 자산운용, 벤처투자 등이 있다.
여신전문금융사채권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은 가운데 BNK캐피탈이 5년 등 비교적 장기물을 조달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ESG채권이라는 점이 장기물 조달에 보탬이 된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조달금리가 낮아지는 ESG프리미엄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장기물을 조달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며 "최근 캐피탈사가 장기 여전채를 발행하기 어려운 상황인데도 BNK캐피탈이 5년물을 발행할 수 있었던 배경"이라고 말했다.
BNK캐피탈은 사회적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2021년 중금리대출 공급을 위해 조달한 자금을 차환하는 데 투입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중·저신용자에게 적정금리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금리단층 완화에 목적을 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BNK캐피탈의 사회적채권을 놓고 최고등급인 ‘소셜1(Social 1)’으로 평가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이 프로젝트가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사회적채권원칙(SBP) 상 적격투자사업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BNK캐피탈이 적정금리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중·저신용자의 이자부담을 줄여주고 금리단층 완화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BNK캐피탈은 앞으로도 사회적채권 등 ESG채권을 지속적으로 발행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BNK캐피탈 관계자는 “ESG채권 투자수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돼 추가 발행하는 안건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속적 발행을 위해 나이스신용평가와 인증 계약도 이에 맞춰 진행했다. 일괄신고제로 자금을 수시 조달하는 만큼 나이스신용평가와 프로젝트 단위가 아닌 기간 단위로 계약을 맺었다. 이렇게 되면 정해진 기간 동안 나이스신용평가 등 외부기관에서 추가로 인증평가를 받지 않아도 ESG채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된다.
BNK캐피탈은 2010년 7월 15일 BS캐피탈로 설립돼 2015년 4월 사명을 바꿨다. 여신전문금융업법에 근거해 일반대출과 할부금융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부산에 본사를 뒀으며 부산은행, 경남은행 등 계열사와 연계영업을 진행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2022년 상반기 말 기준 BNK캐피탈의 최대주주는 BNK금융지주다. 선순위 회사채 신용등급은 'AA-/안정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중량감 넘치는 숏리스트 4인방 ‘이원덕·신현석·이동연·임종룡’
- 'BBB' HL D&I, 공모채 발행 추진…금리 메리트 앞세워
- 코리아에너지터미널 공모채 '4650억' 수요 몰렸다
- SK인천석화, A급 회사채 온기 이어갈까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S그룹]전방위 지원 10년…LS아이앤디는 ‘밑 빠진 독’일까
- 롯데하이마트, 가까스로 완판 '절반의 성공'
- KB금융, 금리 메리트에 신종자본증권 '흥행'
- 세토피아, 친환경 첨단 소재 진출 기반 마련
- 팹리스 '리벨리온' 행보에 거는 기대
- [블록체인산업 ESG 혁신]람다256 루니버스, PoA 기반 저탄소 블록체인 앞장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M엔터, 거버넌스 리스크]얼라인 요구 전격 수용, 이수만 그림자 지우나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포시마크 인수로 북미까지, 글로벌 C2C 지도 완성 '눈앞'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포시마크 인수가격 적정했나 '재조명'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포시마크 '1000억대' 적자 전망…수익성 개선 열쇠는
- 김준구호 네이버웹툰, 미국 발판으로 ‘넷플릭스’ 잡는다
- SM엔터, 이사회 개편에도 "이수만 그림자 여전히 짙다"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포시마크 상장 폐지 '왜'…노림수는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글로벌 비전 핵심 키워드 'C2C'…포시마크 '화룡점정'
- [카카오엔터, 비욘드 코리아]'고차 방정식' 된 IPO, 밸류 눈높이 '관건'
- [카카오엔터, 비욘드 코리아]1.2조 수혈로 '순현금 전환', 유동성 우려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