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 차기 리더는]'리스크 전문' 강상길 vs '글로벌 개척' 방성빈 2파전 압축'빈대인 체제' 경영 노선 가늠할 시금석…'부산상고·동아대' 대결 관전 포인트
최필우 기자공개 2023-02-23 08:21:09
이 기사는 2023년 02월 22일 18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산은행 차기 행장 후보군이 강상길 부산은행 부행장, 방성빈 전 BNK금융 전무 2인으로 압축됐다. 이들은 각각 리스크 관리와 글로벌 진출에 강점을 가진 인물들이다. 이번 행장 선임에서 빈대인 회장 체제의 핵심 아젠다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부산상고와 동아대 출신의 대결이 성사된 것도 관전 포인트다.22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은행은 부산 본점에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행장 후보자 면접을 진행했다. 강 부행장, 방 전 전무, 정성재 BNK금융 일시대표이사가 면접을 봤고 강 부행장, 방 전 전무가 관문을 통과했다.
세 후보는 '부산은행의 미래성장전략 실천 방안'이라는 주제로 프리젠테이션(PT) 발표를 했다. 강 부행장은 금리와 대외 경제 환경 급변에 대한 안정적 대응 방안을, 방 전 전무는 아시아 지역 중심의 글로벌 진출 구상을 발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빈대인 BNK금융 회장 내정자의 부산은행장 시절 임원으로 기용된 승진 동기다. 다만 주특기와 경력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강 부행장은 리스크관리본부장으로 근무한 경력이 두드러진다. 이례적으로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로 4년 간 재직했다. 그가 CRO을 맡을 당시 코로나19 경제 위기, 내부등급법 승인 등 굵직한 이슈가 있었다. 빈대인 당시 행장은 임기 내내 베테랑인 강 부행장을 CRO로 두고 안정감을 추구했다.
방 전 전무는 최고재무책임자(CFO) 격인 경영기획본부장으로 빈 내정자를 보좌했다. 경영기획본부장 주요 업무 중 하나인 글로벌 신사업을 진두지휘했다. 중국 난징 지점 개소, 베트남 호치민 지점 증자 등 족적을 남겼다. 이 같은 경력을 발판으로 지주 그룹글로벌부문장을 맡기도 했다.
임추위는 면접 점수와 평판 조회 점수를 합산해 최종 후보자를 정하지만 그룹 수장인 빈 내정자의 의중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부산은행은 BNK금융의 자산, 순이익 측면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계열사다. 빈 내정자 입장에선 차기 부산은행장이 임기를 함께할 러닝메이트인 셈이다.
빈 내정자는 회장 최종 후보로 선임된 후 구성원 화합을 강조한 바 있으나 주요 경영 아젠다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경제 위기 극복이나 글로벌 역량 강화 등에 대한 견해를 대외적으로 내비친 적이 없다. 차기 행장으로 선임되는 인물에 비춰 빈 내정자의 의중을 짐작할 수 있다.
빈 내정자가 계파 갈등 해소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두 행장의 출신 대학에도 관심이 모인다. 강 부행장은 부산상고 학맥으로 분류된다. 그는 부산상고와 동아대를 모두 졸업했으나 대학 학위는 입행 후 학업 목적으로 취득했다. 방 전 전무는 부산 브니엘고를 졸업하고 동아대에 입학했다. 동아대 졸업 후 부산은행에 입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코어, 세아제강지주 준법경영시스템 구축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흑자전환' 세아베스틸지주, 항공방산소재 '효자' 등극
- 오일뱅크 빠졌지만…HD현대 배당재원 '조선·전력기기'
- 두산밥캣, 건설기계 불황에도 분기배당 이행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실적 못 따라간 주가, 주주환원정책 '과제'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AT '초전도 선재' 적자 지속…자본잠식 가능성은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성연수원' 매각해 자본비율 높인다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개선에 달린 '밸류업' 가능성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
- iM금융, 성공적 RWA 관리 'CET1 12%' 고지 올랐다
- [컨콜 Q&A 리뷰]신한금융,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율 제고 '자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