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캐피탈 글로벌전략 점검]자동차 브랜드 영업 확대…라오스 법인 안정적 이익 성장②캡티브 기반 시장 조기 안착…모바일 중심 영업채널 확장
김경찬 기자공개 2024-07-19 12:58:27
[편집자주]
KB캐피탈이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동남아시아 시장을 글로벌 사업의 중심지로 공략하고 있다. 강점을 지닌 자동차금융을 중심으로 진출해 할부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의 글로벌 사업 전략에 맞춰 해외 각지에 추가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KB캐피탈의 글로벌사업 현황과 전략을 들여다 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7일 07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캐피탈은 라오스 자동차 할부금융 시장에 진출했다. 자동차 브랜드 영업 제휴를 확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리스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LVMC그룹 캡티브 확보, 친환경차량 취급 확대
KB캐피탈은 첫 해외법인을 라오스에 설치하면서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KB캐피탈은 2016년 LVMC그룹(전 코라오그룹)과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했으며 2017년 2월 라오스 현지법인 'KB KOLAO LEASING Co.,Ltd(KB코라오리싱)'을 설립했다.
KB코라오리싱은 LVMC그룹 본사가 있는 라오스 수도 비엔티엔에 첫 뿌리를 내렸다. 비엔티엔은 경제적 수도 역할도 하고 있다. 2021년에는 남부 지역에 위치한 팍세 지역으로 영업망을 확장했다. 현재 라오스 현지에 2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팍세 지역은 라오스 남부 최대 도시로 태국과 캄보디아, 베트남 등과 인접해 있다.
KB코라오리싱은 합작법인으로서 KB캐피탈이 지분율 51%로 최대주주이며 KB국민카드가 29%, LVMC그룹은 20%를 보유하고 있다. 자본금은 1000만 달러(약 115억원) 규모로 설립됐으며 LVMC그룹 판매 브랜드의 할부금융을 위주로 취급하고 있다.
LVMC그룹은 한국계 기업으로 자체 생산한 자동차, 수입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공식 대리점으로 라오스 현지에 수입 판매하고 있다. KB코라오리싱은 이같은 LVMC그룹의 탄탄한 영업망을 활용해 자동차 할부금융 위주로 취급하고 있다.
KB코라오리싱은 다른 브랜드와도 제휴를 적극 확대하며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높여 나가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를 비롯해 재규어랜드로버, 포드, 도요타, 혼다, 닛산 등의 파트너사로서 차량 구매시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내연기관 신차 시장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KB코라오리싱은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량 취급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지원 산업분야인 농업, 광업, 물류업 관련 상용차와 중장비금융 비중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흑자 기조 유지, 플랫폼 구축 시장 지배력 강화
KB코라오리싱은 LVMC그룹의 캡티브 마켓에 기반해 시장 조기 안착에 성공했다. 차량담보대출과 부동산리스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도 추진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법인 설립 다음 해인 2018년에 누적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KB코라오리싱은 출범 첫해인 2017년에 1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나 이듬해 2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흑자 전환 이후 줄곧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순이익이 다소 떨어졌다. 2019년 순이익은 43억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도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코로나 펜데믹 여파로 2021년에는 순이익이 28억원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에 57억원을 기록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라오스 경제침체 등으로 순이익 29억원을 기록했다.
KB코라오리싱에 대한 자금 지원은 매년 이뤄지고 있다. KB캐피탈은 지급보증 위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3월까지 1541억원을 지원했다. 이중 지급보증이 888억원이며 출자금액은 60억원, 대여금은 593억원 수준이다.
KB캐피탈은 라오스 현지에서도 디지털 역량을 발휘하며 현지 고객 이용 편의성을 제고 있다. 국내에서 중고차 거래 플랫폼 'KB차차차'가 있다 면 라오스 현지에는 플랫폼 '롯롯롯'을 운영하고 있다. KB코라오리싱은 '롯롯롯'을 통해 중고차를 판매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대출 신청 앱을 개발하는 등 영업채널을 확장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제이엘케이, "4분기부터 해외 매출 인식 본격화"
- [i-point]엔켐, 프랑스 덩케르크와 서유럽 전해액 생산기지 구축
- [인투셀 IPO]상단에 모인 투심, ADC 상승세 이어간다
- AI 협력 늘리는 포바이포, 이스트소프트와 '맞손'
- 신테카바이오, 미국 OCMS Bio와 '혁신 항체신약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 [i-point]엔젤로보틱스, LIG넥스원과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협력
- [i-point]에이스엔지니어링, 미국 EPC Power와 전략적 파트너십
- [DS금융그룹 시대 개막]'LP 엑시트' 절호의 타이밍, '장덕수 회장' 재정비 결단
- 유언대용신탁 개발 나섰던 신한증권…하반기 중 출시 전망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KB캐피탈, 파트너사 마켓 활용 성장 지속…현지 EV 시장 정조준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여전사경영분석]iM캐피탈, 3년 만에 기지개…수익 구조 최적화 '결실'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동남아서 희비 엇갈려…성장 동력 확보 집중
- [thebell interview]"수익성 회복에 집중, 기업·투자금융 확대로 미래 동력 확보"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저축 김문석 체제 그대로, 교보생명과 시너지 방안은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