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이름 떼는 SK렌터카 득실은 7월 사명 교체, SK 의존 대신 '홀로서기' 택해…브랜드 파워 공백 과제
이영호 기자공개 2025-03-25 07:31:00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4일 07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렌터카가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너티) 피인수 1년 만에 사명을 교체한다. 회사의 든든한 후광이었던 SK라는 명칭을 조기에 떼내기로 결정한 셈이다. 어피너티가 추후 경영권을 매각하는 만큼, 가능한 빠르게 독자 브랜드 입지를 굳히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다만 신규 브랜드가 안착하기까지 상당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24일 업계에 따르면 SK렌터카는 7월 1일부터 새 사명과 브랜드를 공개한다. SK그룹으로부터 편입된 후 10여년간 써왔던 SK렌터카란 명칭은 사라진다. 최근 이정환 SK렌터카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사명 교체 방침을 공식화했다.

SK렌터카 인수작업은 지난해 8월 말 마무리됐다. 딜 클로징 시점과 사명에서 SK를 떼내는 시점을 감안하면 어피너티와 SK 간 상표권 사용계약 기간은 1년 전후인 것으로 보인다. 매각 전 SK렌터카와 SK 간 상표권 계약기간은 2021년1월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돼있다.
업계 관계자도 "애초 어피너티가 SK렌터카를 인수할 때부터 매도인과 상표권 계약을 단기 설정했다"며 "이미 내부적으로 새 브랜드 론칭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SK렌터카의 사명 교체 움직임에 업계에선 여러 해석이 나오지만 득실이 엇갈릴 것이란 반응이 대체적이다. 어피너티는 몇년 후 회사 경영권을 매각해야 한다. 장기적 관점에서 매각까지의 시간을 고려할 때 조기에 SK를 떼내고 단독 브랜드로 홀로서기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독자 브랜드가 시장에 안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겠다는 심산으로 읽힌다.
추후 합병 가능성이 거론되는 롯데렌탈과의 통합을 감안한다면 새 사명은 필수다. 합병에 대해선 확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만약 합병이 현실화된다면 롯데와 SK라는 명칭은 양립할 수 없다.
IB업계에선 SK렌터카의 발 빠른 브랜드 교체에 의아하다는 반응이 포착된다. SK 측에 지급하는 브랜드 사용료가 있긴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 부담되는 액수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통상적으로 대기업 계열사가 그룹사에 지급하는 상표권 사용료는 매출에서 광고 선전비를 제외한 금액의 2% 정도로 알려졌다.
IB 관계자는 "사업 특성상 대기업 브랜드가 주는 인지도와 신뢰성이 중요한데 인수자 입장에선 가능한 오랫동안 SK 브랜드를 가지고 가는 게 유리했을 것”이라며 "사명 교체에 따른 불확실성보다는 브랜드 이용료가 더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명 교체에 따른 추가 지출은 적잖을 전망이다. 새 사명과 브랜드를 대대적으로 알리기 위한 홍보비에다 새 사명에 맞춰 부수적으로 투입되는 비용도 크기 때문이다.
렌터카 업계 관계자는 "사명 교체 직후 인지도 공백과 같은 리스크가 수반될 것"이라며 "회사로선 시간을 들여 상당 자원을 투입해야 하는 중대 과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그룹, 미국 대관조직 '컨트롤타워' 만든다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Policy Radar]'1거래소-1은행' 원칙 폐기 짚어볼 두 가지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포시마크로 보여준 '빅딜' 성과…글로벌 기업 '한발짝'
- [유증&디테일]셀리드, 최대주주 재원 마련 방안 '지분 매도'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벌크선사 관세전쟁 영향 점검]관세전쟁 문제없다...팬오션, 재무체력 '탄탄'
- 박찬구 금호석화 회장, 법적분쟁 다 털어냈다
- [벌크선사 관세전쟁 영향 점검]피크 지났지만…팬오션, '스케일업' 성공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상호출자' 해제됐던 한국앤컴퍼니, 1년만에 '컴백'
- 장금상선, 글로벌 중개기업 트라피구라와 왜 손잡았나
- '해상풍력 진출' HSG성동조선, 1137억 투자유치 성공
- 폴라리스쉬핑, 성장에 방점 찍었다 '선대 확장'
- [새 주인 찾는 SK해운]매각 앞두고 개선된 재무체력
- [새 주인 찾는 SK해운]금융비용 상승 '공격적 신조' 도입 결과
- [Sanction Radar]대관라인 일신 LG그룹, 상호관세 극복 '특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