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너웍스·한송네오텍, 차세대 2차전지 분리막 '맞손' PVDF·PET 합성한 부직포 멤브레인에 특수 코팅 접목, 공극율·공기투과도 개선
신상윤 기자공개 2020-11-17 10:13:24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7일 10:1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송네오텍 인수를 결정한 '시너웍스'가 차세대 2차전지용 분리막 사업에 진출한다.시너웍스는 17일 코스닥 상장사 한송네오텍을 통해 차세대 2차전지용 분리막 제조 및 사업화 기술기업과 공동사업을 위한 전략적 제휴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다음달 설립될 한송네오텍 분리막 자회사에 차세대 분리막 기술과 노하우, 공정 일체 등을 이전해 관련 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한송네오텍도 내년 1분기 중 중국 현지에 제조 인프라를 구축해 시제품 출시와 판매를 목표한다는 방침이다.
한송네오텍이 확보할 분리막 기술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합성한 부직포 멤브레인에 특수 코팅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기존 메이커들은 PP·PE 소재 필름 구조를 사용한다.
현재까지 2차전지 분리막은 PP 또는 PE 등을 연신하거나 화학 처리해 만든 다공질 필름 구조다. 이는 적은 공극율(Porosity)과 낮은 공기투과도(Air Permeability)로 인해 이온의 이동 능력에 제한이 있었다.
이번에 시너웍스를 통해 한송네오텍이 확보할 차세대 분리막은 공극율과 공기투과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이온 이동 능력을 극대화한다. 또 내열성과 유연성을 강화해 배터리 셀의 안정성을 개선한 것이다.
시너웍스는 차세대 분리막 기술을 통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2차전지 배터리 분리막은 셀 원가의 15% 정도를 차지한다. 양극과 음극을 분리해 양극간 전기적 접촉을 막아 화재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양극재와 음극재, 전해질 등과 함께 배터리 4대 핵심 소재다.
시너웍스 관계자는 "2023년 분리막 시장은 7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거대한 시장"이라며 "조만간 인수할 한송네오텍을 통해 기존 선두 업체들의 분리막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분리막을 양산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수출 호조' 한국맥널티, 상반기 최대 매출 달성
- '디지코' KT, 온실가스 관제 솔루션 대외 활용 구상
- "컴투스 메인넷의 목표, 블록체인 진입장벽 지우기"
- SKT, 'Scope3'까지 철저 관리…외부서도 로직 인정
- [갤럭시언팩 2022]삼성전자, '폐어망 부품화' 10년 노력 빛…관건은 가격
- KT알파, 안정적 매출 성장 지속…8할은 '커머스' 몫
- [사면의 경제학 2.0]삼성 오너가, 사면으로 본 경영·투자 효과
- 모처럼 기지개 켠 NEW, '콘텐츠 밸류체인' 효과 봤다
- 팰콘제이파트너스, 반년만에 재차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