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CB 프리즘]마인즈랩, 유태준 대표 지배력 강화 길 열렸다②지분 희석 우려에 유증 아닌 CB 선택, 콜옵션 행사시 '16%→20%'
구혜린 기자공개 2023-03-23 09:22:48
[편집자주]
전환사채(CB)는 야누스와 같다. 주식과 채권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구조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B 발행 기업들이 시장에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이유다.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더 큰 경영 변수가 된다. 롤러코스터 장세 속에서 변화에 직면한 기업들을 살펴보고, 그 파급 효과와 후폭풍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1일 15:4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의 지배력 강화 기회가 열렸다. 마인즈랩이 최근 발행한 전환사채(CB) 콜옵션(매도청구권)을 유 대표가 행사할 경우 지분율을 기존 16%에서 최대 2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유 대표는 틈틈이 자사주 매수에 나설 만큼 지분 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상태다.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마인즈랩은 최근 제1회차 CB 발행을 통해 150억원을 조달했다. 히스토리투자자문과 SK증권, 신한투자증권 3곳 외에 9개 운용사가 조성한 15개 펀드가 납입을 마쳤다.
콜옵션 비율은 30%로 설정했다. 이번에 발행한 CB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한다면 발행되는 주식은 보통주 59만6587주(지분율 8.92%)다. 콜옵션 주체가 콜옵션을 30% 비율로 전량 행사할 경우엔 17만8976주(2.85%)를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주가 하락으로 하향 리픽싱을 전환가액의 70% 수준까지 조정한다면 최대 25만5667주(4.03%)까지 취득 가능하다.
마인즈랩은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발행회사인 마인즈랩 또는 마인즈랩이 지정하는 자가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게 했다.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와 마인즈랩의 관계는 미정으로 발행한 상태다. 이 제3자는 CB 발행일로부터 1년 후인 2024년 3월부터 2년 뒤인 2025년 3월까지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유태준 대표가 행사 주체가 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마인즈랩 창업자에 가까운 유 대표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최대주주 위치를 점하고 있다. 다만 초기 30% 수준에 달했던 지분율은 BSK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하나은행 등이 참여한 프리IPO(상장전 지분투자)를 거치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 2월 기준 지분율은 15.89%(97만6450주)로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다.
유 대표는 부족한 지배력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를 여러 차례 해왔다. 지난해 2월, 5월, 7월, 11월 총 네 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각각 4000주, 2000주, 1400주, 800주 장내 매수했다. 유 대표가 자사주를 매수한 시점의 마인즈랩의 주가는 1주당 각각 2만900원, 1만8400원, 1만3893원, 1만1700원으로 저가 매수 타이밍을 포착한 것으로 파악된다. 마인즈랩은 최근 1주당 2만7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행한 재무적 투자자(FI)들이 모두 엑시트에 착수하면서 지배력 보완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파악된다. BSK인베스트먼트(11.95%) 및 LB인베스트먼트(6.10%)가 조성한 펀드의 경우 보호예수 해제 이후에도 마인즈랩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지난해 11월 말 마인즈랩 주가가 상승 흐름을 타자 청산에 나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3.74%) 역시 보호예수 해제 직후 투자금을 모두 회수했다.
당초 마인즈랩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가 아닌 CB 발행을 선택한 것도 이러한 배경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CB 발행 대상 역시 12곳에서 최소 5억원부터 최대 30억원까지 나눠 투자받는 길을 택해 한두 곳에 지분이 쏠릴 위험 요소를 없앴다. 업계 관계자는 "대주주 지분율 희석 방지 차원에서 제3자배정 유상증자 등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 미 SEC, 코인 무더기 '증권' 판단…국내 시장 영향 '아직'
- LGD 3TG 공급망, 러시아 비중 급감…중국은 현상 유지
- 넥슨 '피파4' 활용법, 게임 문법도 바꿨다
- '신약' 역량 강화했던 디어젠, 관련 핵심인력 이탈
- 홍콩의 '코인거래소 면허제'…국내 중소형 거래소에 기회될까
- [게임사의 코인 pick]카카오게임즈, '신중한 pick' 비트코인 수익률 '-50%'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이트원, 부동산 STO 신사업 위해 무궁화신탁 '맞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네오셈, 글로벌 고객사 등에 업고 매출 '점프'
- 넥스틴, 10년 만에 APS 둥지 떠난다
- [thebell interview]박태훈 넥스틴 대표 "중국 200mm 팹, 대규모 시장 접수"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이경섭 타이거일렉 창업주, 자사주 재테크 '눈길'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티에스이 기조' 무차입 경영 향한다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매출 성장 '신의 한 수' 베트남 진출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신규 사업 '갤러리 운영' 진정성은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투자 늘리는 넥스틴, 올해가 포트폴리오 '변곡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미·중 반도체 전쟁 수혜에 '쾌속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