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리츠, 공실 해소에 임대수익 '증가' 중동사옥·구리사옥에 신규 임차인 확보…배당여력 확대 '기대감'
김지원 기자공개 2023-05-24 07:20:26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2일 08:2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리츠가 상장 이후 공실 해소와 임대차 계약 갱신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다지고 있다. 추가 임대 수익을 확보한 만큼 배당 여력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리츠는 상장 당시 향후 5년간 평균 연 환산 6.85%의 배당수익률을 약속한 바 있다.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화리츠는 최근 이사회를 열어 한화손해보험 여의도사옥 내 일부 임차인에 대해 관리비 중도 인상을 결정했다. 통상 연 단위로 월 임대료와 관리비를 인상하지만 임대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임차인과의 개별 협의 하에 중도 인상을 결정했다.
한화리츠가 관리비 중도 인상 계약을 체결한 곳은 여의도 사옥 지하 7층, 지하 1층, 1층, 3층, 5~8층, 11층을 사용 중인 한화투자증권과 지하 1층 일부를 임차 중인 바이현 안경 두 곳이다. 각각 1만3993.93㎡(4233.16평), 58.83㎡(17.80평) 규모의 공간을 임차 중이다.
이달 초에는 한화생명보험 중동사옥과 구리사옥에 신규 임차인을 유치하며 공실률도 낮췄다. 중동사옥의 경우 11층과 13층 일부가 공실로 남아있었으나 최근 케이티디에스와 신규 임대 계약을 체결하며 13층의 공실을 해소했다. 임대면적은 345.06㎡(104.38평)로 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각각 3758만원, 376만원이다. 임대 종료일은 내년 1월 10일이다. 이에 따라 현재 중동사옥의 공실은 11층 한 곳으로 줄어들었다.
한화리츠가 보유한 5개 자산 중 공실률이 가장 높은 축에 속했던 구리사옥에도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스를 신규 임차인으로 확보해 13층의 공실을 없앴다. 해당 임차인은 2026년 5월 4일까지 해당 공간을 사용할 예정이다. 임대 면적은 362.55㎡(109.67평)로 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각각 3839만원, 384만원에 책정됐다. 구리사옥의 경우 현재 10층과 14층을 제외하고 전 층에 임차인을 확보하고 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된 임차인과는 계약 갱신을 통해 월 임대료를 꾸준히 인상하고 있다. 한화리츠는 매년 CPI 인상률에 연동하는 임대차 계약 구조를 바탕으로 각 임차인과의 협의를 통해 임대료 인상률과 인상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한화리츠는 지난달 말 중동사옥 10층을 임차 중인 KB손해보험과 계약을 갱신해 월 임대료를 260만원에서 272만원으로 올렸다. 이달 초에는 평촌사옥 13층을 임차 중인 교원에 대해 월 임대료를 850만원에서 876만원으로 인상하고 내년 4월까지 계약 기간을 늘렸다.
지난 3월 말 상장한 한화리츠는 현재 △한화손해보험 여의도사옥 △한화생명보험 노원사옥 △한화생명보험 평촌사옥 △한화생명보험 중동사옥 △한화생명보험 구리사옥 총 5곳을 자산으로 보유 중이다. 임차인은 한화그룹 계열사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공공기관으로 구성하고 있다. 현재 그룹 내 자산 4곳에 대해 우선매수협상권을 보유하고 있어 2026년까지 차례로 포트폴리오에 해당 자산을 편입할 계획이다.
한화자산운용 관계자는 "상장 이후 추가 공실이 발생하지 않았고 신규 임대차 계약을 꾸준히 체결하고 있다"며 "그룹 자산 편입을 검토하는 동시에 시장의 다양한 딜을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신세계백화점, '그룹과 별도 행보' 브랜드본부 신설
- [롯데의 베트남 시대]"면세점은 역시 럭셔리, 신규 출점 검토"
- [Red & Blue]'황제주의 추억' 오뚜기, 잠룡일까 항룡일까
- [베일 벗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최대 숙제 '원화 거래 지원', 부산시 지원사격 받는다
- 디딤이앤에프, 임직원 266명 탄원서 제출
- [KAI를 움직이는 사람들]재무개선 기반 강화, 박상욱 CFO 역량 '시험대'
- 라이트론, 유럽 광통신 컨퍼런스서 100G 제품 전시
- 세종텔레콤-한국토지신탁, STO 상품 개발 '맞손'
- [시험대 선 삼성 리더]대변환 시대 이끄는 최주선 사장, 미래동력 확보 과제
- [게임사 성장 로드맵]밸로프, 플랫폼으로 '성장 과도기' 넘어서나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람코·교보컨소, 방학 신동아1단지 재건축 '예비신탁사' 낙점
- "행동주의 펀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
- 대토신, 울산 반구동 민간임대주택 사업 '속도'
- [부동산신탁사 경영분석]차입형 늘린 교보자산신탁, '하위권' ROA 지속
- 아이에스동서, BTS테크 인수 '글로벌 밸류체인 완성'
- [지속가능경영 리뷰]코람코신탁, ESG데이터 계량화로 자산가치 제고 '속도'
- [부동산신탁사 경영분석]코리아신탁, '보수적 영업기조'에 ROA 지속 하락
- '상장 3년'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체질 확 바꿨다
- [부영그룹은 지금]3년 만에 돌아온 이중근 회장, 승계·사업 변화의 기로
- [부동산신탁사 경영분석]리스크 큰 차입형 늘린 KB부동산신탁, 자금확보 '고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