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캐피탈은 지금]거침없는 성장 가도…정상철 대표 목표 순익 1000억 순항①2년 연속 최대 실적 달성…투자 비중 장기적 확대
김경찬 기자공개 2025-03-17 12:58:25
[편집자주]
한국캐피탈은 군인공제회 산하의 여신전문금융사다. 지난 10년간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수익 기반을 다져왔다. 최근 이익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시장 지위를 강화하고 있다. 내실 경영과 지속 성장, 디지털 혁신을 통해 톱티어(Top-tier) 캐피탈사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도 마련하고 있다. 본격 성장 궤도에 오른 한국캐피탈의 사업구조와 재무, 지배구조 등 경영현황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3일 07시16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캐피탈은 성장 가도를 멈추지 않고 있다. 60억원대였던 순이익은 7년 연속 개선하며 어느덧 800억원대에 진입했다. 한국캐피탈은 할부와 리스에 집중됐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업금융과 개인신용대출 등으로 다변화하며 이익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정상철 한국캐피탈 대표가 목표로 세운 순이익 1000억원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선 모습이다. 정 대표는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사업 전략을 탄력적으로 가져가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투자 비중도 늘려가며 양적, 질적 성장을 이뤄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한국캐피탈, 체질 개선으로 순익 13배 성장 일궈
한국캐피탈의 전신은 1989년에 설립된 중부리스다. 2001년 군인공제회가 인수하면서 한국캐피탈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듬해에는 경남리스와 흡수 합병하며 덩치를 더 키웠다. 한국캐피탈은 할부·리스 중심에서 일반기업대출과 PF 대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완만한 성장을 이어갔다.
한국캐피탈은 2017년 중요한 변곡점을 맞이하게 된다. 이는 시장 변화의 흐름에 맞춰 기존 사업을 재편하며 체질 개선을 본격화한 것이다.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성장 정책을 펼치며 자산 규모를 빠르게 키워나갔다.

한국캐피탈은 기존 산업재금융 비중을 줄이고 개인신용대출과 중도금대출 등 리테일금융 자산을 늘렸다. 신사업 진출에도 속도를 높였다. 한국캐피탈은 차세대시스템을 구축하고 렌탈과 중고차금융 등으로 외연을 확장했다. 2019년 이후로는 부동산PF 중심으로 기업금융을 전략적으로 늘리며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었다.
기업 체질 개선에 집중한 결과 한국캐피탈은 매년 높은 성장세가 이어졌다. 2017년 1조5000억원이었던 자산 규모는 지난해 4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62억원에서 811억원으로 약 13배 증가하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뒀다. 끊임없는 변화와 성장을 거듭하며 캐피탈사로서 최고의 성과를 이뤄낸 것이다.

◇정상철 대표, 리테일 중심 영업전략으로 실적 돌파구 마련
2023년 4월 정상철 대표 부임 이후에도 한국캐피탈의 성장세는 꾸준히 이어졌다. 정상철 대표는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업계에서도 두드러진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국캐피탈은 2023년 662억원, 지난해 811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정 대표가 공표한 중장기 목표치에도 점차 가까워진 모습이다. 정 대표는 부임 첫날 임직원들에게 임기 내 1000억원 이상 순이익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최근 부동산PF 리스크와 고금리 등으로 업권 전체가 부침을 겪는 가운데 이룬 성과인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정상철 대표는 개인신용대출, 중고차금융 등 리테일금융에서 고수익 중심으로 실적 개선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특히 리스업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차금융에서 영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포트폴리오 비중은 기업금융과 리테일금융, 할부·리스를 각 30%씩 구성하며 다변화 노력도 지속했다.
올해 정상철 대표는 투자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정 대표는 최근 투자금융본부를 신설하며 투자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한국캐피탈은 투자금융이 약 10%를 차지하며 다른 사업부문보다 다소 경쟁력이 떨어진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투자 수익을 실현함에 따라 정 대표는 투자금융에서도 장기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여전사경영분석]iM캐피탈, 3년 만에 기지개…수익 구조 최적화 '결실'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동남아서 희비 엇갈려…성장 동력 확보 집중
- [thebell interview]"수익성 회복에 집중, 기업·투자금융 확대로 미래 동력 확보"
- [여전사경영분석]우리금융캐피탈, 대손비용 부담 확대로 실적 개선 제동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저축 김문석 체제 그대로, 교보생명과 시너지 방안은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