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이충곤 에스엘 회장 대표이사 사임, '오너3세' 경영 본격화장남 이성엽 부회장 25.5% 보유 최대주주
김서영 기자공개 2021-04-06 07:52:07
이 기사는 2021년 04월 02일 09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중견 자동차 부품사 에스엘의 이충곤 회장이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회장의 장남인 이성엽 부회장(사진)이 경영을 총괄한다.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스엘은 김정현 전무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이 회장의 대표이사 사임에 따른 조치다. 김 전무 선임으로 이성엽 부회장, 김한영 전무로 이뤄진 3인 대표이사 체제가 만들어졌다. 1962년생인 김 전무는 현재 섀시사업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진량 공장장, 중국법인인 상해삼립·북경삼립 총경리 등을 역임했다.
에스엘 관계자는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이충곤 회장이 대표이사직에서 사임했다"라며 "대표이사직을 내려놓지만 회장으로서 경영에 충실히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이사진에 오너 일가가 2인(이충곤·이성엽)이 포함돼 가족경영으로 비춰지는 것에 부담을 느껴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경영관리본부장 등을 거치며 본격적인 경영 수업을 받아왔다. 2002년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지난해 12월 말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에스엘의 후계 구도는 일찌감치 정해졌다. 이 부회장의 지분율은 25.5%로 에스엘의 최대주주다. 이 회장은 지분율 14.14%로 2대 주주다. 이 회장의 차남이자 이 부회장의 동생인 이승훈 에스엘미러텍 사장은 지난해 말 지분율 11.94%로 3대 주주다.
오너 일가는 자회사 합병을 통해 지분율을 확대해왔다. 이 부회장의 에스엘 지분은 2000년 5.64%였다. 2008년 자회사 에스엘테크와의 흡수합병에 따른 신주발행으로 에스엘 지분율 28.72%로 크게 뛰었다. 이 회장의 지분율은 25%에서 17.41%로 떨어졌다. 이듬해 임원을 대상으로 한 유상증자가 마무리된 후 2017년까지 지분율 23.97%를 유지했다.
이 부회장은 2018년 에스엘라이팅 합병으로 다시 한번 지배력 확대를 꾀했다. 에스엘과 에스엘라이팅의 합병 비율(1대 12.5003152)에 따라 이 부회장의 지분율은 23.97%에서 25.5%로 상승했다. 에스엘라이팅은 차량용 램프를 생산하는 핵심 계열사다.
에스엘은 에스엘라이팅 합병으로 외형 성장을 이뤘다. 2018년 에스엘 연간 매출은 연결기준 1조5986억원 수준이었다. 2019년 말 에스엘은 에스엘라이팅 매출이 연결로 잡히며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매출은 2조505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에스엘 측은 고부가 제품인 LED 램프 공급 확대와 매출처 다각화로 수익성을 강화했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932억원을 기록하며 에스엘라이팅 합병 전이었던 2018년(46억원)보다 20배 가량 증가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판매처가 현대기아차에 한정돼 있었지만 2010년대 들어서 한국GM으로 매출처를 넓혔다. 최근에는 동풍차와 지리차 등 중국 완성차업계에도 자동차 램프를 공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금호타이어, 화재 광주공장 '재건보다 이전' 무게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동부건설, 수익형 수주 전략 통했다
- [지배구조 분석]우미건설, 자회사 합병해 '선택과 집중'
- [건설리포트]'회생졸업 9년차' 동아건설산업, 3년 연속 외형 성장
- [Company Watch]금강공업, '100억대' 모듈러 생활관 수주 낭보
- [Company Watch]자이에스앤디, 시행사 '러브콜' 수주잔고 3조 육박
- [건설리포트]HL디앤아이한라, '역기저효과' 속 자체사업 성과 기대
- [CFO 워치]김정훈 한신공영 전무, 신용등급 전망 개선 '첫 성과'
- [thebell note]부영이 그리는 '실버빛' 미래는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