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완 BNK회장, 임기 5개월 남기고 퇴진 '선택' '비은행 강화·VC인수' 업적…경영승계 절차 본격화
최필우 기자공개 2022-11-08 08:11:31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7일 14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사진)이 임기 5개월을 남기고 퇴진했다. 최근 제기된 가족 관련 의혹을 감안한 결정이다. 그는 그룹의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고 지방금융 최초로 벤처캐피탈(VC) 인수하는 업적을 남겼다.
김 회장은 임기 동안 BNK금융의 비은행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김 회장 취임 전만 해도 BNK금융은 사실상 은행에 의해 실적이 좌우됐다. 2017년 9월 김 회장 취임 전인 3분기 누적 순이익을 보면 은행 4850억원, 비은행 696억원이다. 은행 의존도가 88%에 육박했던 셈이다.
그룹의 은행 의존도는 김 회장의 임기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2017년 84.7%, 2018년 84.1%, 2019년 82%, 2020년 76%, 2021년 69.1%를 기록했다. 회장 취임 전 부국증권, 현대증권(현 KB증권), 하나대투증권(현 하나증권)을 거치며 30년 넘게 '증권맨'으로 활약한 그의 경영 노하우가 발휘된 결과다.
그는 BNK벤처투자를 그룹의 9번째 자회사로 추가한 장본인이다. 2019년 유큐아이파트너스 지분 100%를 인수해 BNK벤처투자로 사명을 바꿨다. 은행과 비은행 부문이 균형 있게 성장하는 투자전문금융그룹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책이었다. VC를 그룹 산하에 둔 건 지방금융 중 최초다.
김 회장의 퇴진으로 BNK금융은 경영승계 절차를 본격화한다. 조만간 직무 대행 체제와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개시를 위한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업의 경쟁력' 강화, 키워드는 '외국환·자산관리·연금'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성연수원' 매각해 자본비율 높인다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개선에 달린 '밸류업' 가능성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