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차기 리더는]김상윤 벤처투자 대표, 차기 회장 '깜짝' 지원안감찬 행장·이두호 대표와 내부 후보군 형성…완주 가능성은 미지수
최필우 기자공개 2022-12-23 08:17:45
이 기사는 2022년 12월 22일 15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금융그룹 '막내' 계열사 BNK벤처투자를 이끄는 김상윤 대표(사진)가 차기 회장 후보에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룹 안팎에서 예상치 못한 깜짝 지원이다. 그는 유력 후보로 꼽히는 안감찬 부산은행장,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 등과 경쟁을 펼친다.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대표는 최근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 회장 후보 지원서를 제출했다. 그는 계열사 대표 자격으로 선발된 CEO 후보군에 포함돼 있다. 이번 지원서 제출 후 서류 심사에 합격하면 1차 후보군에 포함돼 프리젠테이션 및 면접 기회를 얻는다.

김 대표는 1959년생으로 가야고등학교, 부산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줄곧 감사원에서 근무한 관료 출신 금융인이다. 감사원에서 공보관, 재정·경제감사국장, 감사교육원장을 역임했다. 2015년 삼성화재 상근 고문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2018년 3월 BNK금융에 둥지를 틀었다.
그는 김지완 전 BNK금융 회장의 권유로 그룹에 합류했다. 감사원 재직 경험을 살려 그룹감사총괄부문장, 그룹감사부문장을 맡았고 올해 BNK벤처투자 대표가 됐다. 김 전 회장은 BNK금융 최초의 외부 출신 CEO로 그룹 내부에 의지할 수 있는 임원이 많지 않았다. 이 때문에 김 회장은 모교 부산대 출신 후배들을 적극 기용했는데 김 대표 영입도 이 같은 배경에서 이뤄졌다.
지배구조 규정에 따라 BNK금융 계열사 9곳의 CEO는 차기 회장에 지원할 자격이 있지만 김 대표의 회장 도전은 예상치 못한 행보다. BNK벤처투자는 김 전 회장 재임 시절 인수된 그룹의 아홉 번째 계열사로 아직 존재감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엄밀히 따지면 그를 내부 출신 CEO로 보기 어렵고 김 전 회장 후광 없인 감사원 출신이 벤처캐피탈(VC) 대표로 취임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평가도 있다.
김 대표가 그룹 안팎에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회장에 지원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그의 BNK벤처투자 대표 임기는 2024년 3월 만료된다. 본인을 영입한 김 전 회장이 지난달 사퇴한 가운데 차기 회장이 선임되면 본인의 거취를 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회장에 도전하면 그룹 안팎에서 체급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2017년 BNK금융 회장 공모 때도 이 같은 효과를 노린 내부 임원들 다수가 지원서를 낸 바 있다.
이사회 또는 그룹임추위 권유로 지원서를 냈을 것이란 견해도 있다. 지원서 제출 자격을 확보한 후보군은 외부와 내부 각각 9명 씩이다. 외부 후보의 경우 서치펌에 후보 추천을 동의한 만큼 대부분 지원서를 제출한 것으로 관측된다. 내부에선 안 행장, 이 대표 정도를 제외하면 지원자가 마땅치 않아 임추위가 다른 대표들에게 지원을 독려했을 수 있다.
BNK금융에 정통한 관계자는 "회장 후보에 지원하는 것 만으로도 그룹 안팎에 홍보 효과가 있다"며 "김상윤 대표가 회장 선임을 목표로 삼고 지원서를 제출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황민영 부대표 “AI 검증 돕는 세계적 기업 되겠다”
- [thebell interview]"사제파트너스, 글로벌 파워 갖춘 K-커뮤니티 꿈꿔"
- [thebell interview]"클레이디스, AI로 3D 쉽게 생성…1분만에 뚝딱"
- 에트리홀딩스, 윤상경 대표 곧 임기만료…공모 돌입
- 산은 미국법인, 프라임마스에 70억 베팅
- ' VC협회장사' 퀀텀벤처스, 과기부 AI GP는 따낼까
-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에 이대희…첫 '관 출신' 사례
- [thebell interview]황건필 대표 “미국에 햄버거 조리 로봇 도입할 것”
- 신스타프리젠츠, 30억 시리즈A 익스텐션 라운드 시동
- 어니스트벤처스, 과기부 SaaS 재도전 성공할까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성연수원' 매각해 자본비율 높인다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건전성 지표 개선에 달린 '밸류업' 가능성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본사 정책 평가 강화, '건전성·손님만족' 항목 힘줬다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우리은행, '위기기업 대응 조직' 신설 자본비율 관리 고삐
- iM금융, 성공적 RWA 관리 'CET1 12%' 고지 올랐다
- [컨콜 Q&A 리뷰]신한금융,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율 제고 '자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