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부정 대출 파장]금감원, '현 경영진' 재임 기간 부정대출 추가 확인전임 회장 친인척 관련 380억, 총 730억으로 확대
최필우 기자공개 2025-02-04 12:31:30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0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취임 후 발생한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 금액을 추가로 확인했다. 앞서 발표한 금액을 웃도는 규모의 부정 대출이 임 회장 재임 기간에도 있었다는 설명이다. 정기검사를 통해 부정 대출 규모는 700억원대로 늘어났다.금감원은 전 경영진과 현 경영진 재임 기간 발생한 부정 대출 금액을 별도로 공개하며 임 회장을 겨냥했다. 우리금융의 내부통제 부실 책임이 전임 회장에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본부장급, 지점장급 인사들의 부실 대출 사례도 약 1600억원 규모로 새로 파악됐다.
◇친인척 부정 대출 730억 중 '62%' 현 경영진 취급
4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검사를 통해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부정 대출 380억원을 추가로 확인했다. 기존에 확인된 350억원에 더해 관련 대출 규모는 총 730억원으로 늘어났다.

금감원은 부당 대출 금액을 손 전 회장과 임 회장 재임 기간 기준으로 분류했다. 730억원 중 62%에 해당하는 451억원이 임 회장이 취임한 2023년 3월 이후 취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손 전 회장 재임 때보다 임 회장 임기 중 발생한 금액이 더 크다는 점을 금감원은 강조했다.
730억원 중 338억원(46%)은 연체된 것으로 파악됐다. 추가 확인 부정 대출이 추가되면서 기확인 부정 대출 연체율 85%에 비해 낮아졌다. 추가 확인된 금액 380억원 중 338억원이 정상으로 분류되면서다. 새로 추가되고 정상으로 분류된 부정 대출 금액 중 현 경영진 재임 기간에 취급된 금액은 328억원이다.
다만 금감원은 임 회장 재임 중 취급되고 정상으로 분류된 금액 328억원도 향후 부실화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기확인 금액 350억원 중 85%가 부실화됐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장기간 부정 대출이 취급되는 동안 지주 차원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본부장급·지점장급 부실 대출 1600억 파악
금감원은 우리은행 본부장급, 지점장급 인사들의 부실 대출도 추가로 공개하며 우리금융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다. 본부장 3명, 지점장 24명 등 총 27명의 영업 관리자가 대출 심사와 사후 관리를 소홀히했다는 게 금감원의 주장이다.
이들이 취급한 1604억원의 대출 중 77%인 1229억원이 부실화 된 것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사업 목적과 무관한 대출 취급, 투자계약서 진위 미확인, 이자 대납 묵인 등을 부실화 사유로 파악했다. 1604억원 중 62%에 해당하는 987억원이 임 회장 임기 중 취급됐다는 점도 짚었다.
현 경영진 임기 중 발생한 부실 금액을 별도로 공개하는 건 임 회장의 책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금융 부정 대출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난 이후 줄곧 현 경영진의 책임이 가볍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병규 전 우리은행장이 연임을 포기하면서 우리금융 경영진에 대한 압박이 일단락되는듯 했으나 이번 정기검사 발표를 기점으로 재차 긴장감이 돌 것으로 관측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특정 금융지주와 경영진을 겨냥한 정기검사 결과 발표가 아니"라며 "다른 금융지주와 은행도 참고할 만한 내용이기 때문에 공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OK금융 저축은행 M&A]페퍼저축 실사 진행…노림수는 인수전 '가격 협상'
- 우리금융, 증권 투자매매업 본인가…비은행 사업 본격화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농협손보, 3개월새 잇따른 조달…적정성 방어엔 '역부족'
- [OK금융 저축은행 M&A]상상인저축 대안은 페퍼저축? 인수 매력 포인트는
- 수출입은행, 디지털금융 전략 다시 짠다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BNK금융, 역량진단표 활용 '지역 전문성' 진단
- [한국소호은행 제4인뱅 독주]인가전 완주 자신감엔 'CSS'...대출 사각지대 해결사 될까
- [주주총회 프리뷰]신한금융이 진단한 금융사고 원인은
- [은행권 신지형도]체급 높인 '기업은행',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
- KB캐피탈, 추심 내재화 확대…연체율 관리 강화한다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증권 투자매매업 본인가…비은행 사업 본격화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BNK금융, 역량진단표 활용 '지역 전문성' 진단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BNK금융, 사외이사 후보 추천 '내부→외부' 중심 이동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보험사 매물 적체, 국가 간 거래' 인허가 명분 될까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하나금융, 사외이사 추천 권한 서치펌 일임 수순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위 건전성 인정 요건 '자본금 증액' 가능성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사후 대책 이행에도 경영평가 '3등급 하향' 현실화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KB금융, 내부통제위 '컴플라이언스' 전문가 충원 과제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메리츠금융, 은행 없이 금융지주 시총 2위권 오른 비결은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KB금융, 사외이사 키워드 '소비자보호·여성'